美 반도체산업협회 보고서…역대 최고치 전망10년간 생산능력 증가율 129% 2위 달성
  • ▲ ⓒ연합뉴스

    글로벌 반도체 시장에서 한국의 시장 점유율이 2032년 19%를 기록해 역대 최고치를 달성할 것이라는 내용의 보고서가 나왔다.

    메모리반도체 분야에서 점유율이 크게 확대되는 반면, 전 세계에서 치열하게 경쟁 중인 10나노미터(㎚·1나노는 10억분의 1m) 이하의 첨단 반도체 분야에서는 미국에 점유율을 빼앗기며 크게 떨어질 것으로 관측됐다.

    8일(현지시간) 미국반도체산업협회(SIA)와 보스턴 컨설팅 그룹(BCG)은 반도체 공급망 분석 보고서에서 2032년 한국이 전 세계 반도체 시장 점유율이 2022년 17%에서 2032년 19%로 2%포인트 증가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는 역대 가장 높은 수치다. 중국(21%)에 이어 두 번째로 비중이 크며, 대만(17%)과 미국(14%)도 제치게 된다.

    2022년 기준 우리나라의 반도체 생산 비중은 중국(24%)과 대만(18%)에 이어 일본과 함께 공동 3위로 평가됐다.

    한국의 생산 점유율이 증가하는 데에는 반도체 공장 건설을 통해 생산능력이 크게 확대됐기 때문이다.

    보고서는 향후 10년 한국의 반도체 생산 능력 증가율은 129%로 전망했다. 이는 미국(203%)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것이다. 

    2012년 대비 2022년 우리나라의 반도체 생산능력 증가율은 90%로, 중국(365%)에 이어 두 번째로 나타났다.

    이 기간 다른 지역의 생산능력 증가율은 대만(67%), 유럽(63%), 일본(36%) 등의 순으로 높았다. 미국은 11%로 가장 낮았다. 이들 지역을 제외한 기타 지역은 72%였다.

    다만, 첨단 공정을 포함한 10나노미터 이하 한국의 반도체 생산 점유율은 31%에서 9%로 큰 폭 하락할 것으로 관측됐다. 같은 기간 대만도 69%에서 47%로 하락할 것으로 예상됐다.

    이는 미국 정부가 반도체 지원법을 앞세워 미국 내 설비 투자를 장려하면서 공장 등을 짓도록 유도했기 때문이다. 

    미 정부는 반도체 생산 보조금(390억 달러)과 연구개발(R&D) 지원금(132억 달러) 등 527억 달러(75조5천억원)를 지원하고 있다.

    이에 2032년 미국의 반도체 생산능력 증가율은 2022년 대비 3배 수준(203%)으로 증가하고, 생산 점유율도 10%에서 14%로 4%포인트 늘어날 것으로 예상됐다.

    보고서는 "한국은 반도체 산업 발전에 일찍 투자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글로벌 반도체 리더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했다"고 말했다. 또 한국 내 반도체 투자 규모가 2047년까지 4710억달러 수준에 달하게 될것으로 전망했다.
곽예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