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 하이브 본사 압수수색 ‥ 방시혁 소환 하이브 측 "상장 전제로 사익 추구 안 해"방시혁 "성장 과정서 놓친 부분 없는지 성찰"
  • ▲ 방시혁 하이브(HYBE) 의장이 15일 오전 서울 마포구 서울경찰청 금융범죄수사대에 피의자 신분으로 출석하며 입장을 밝히고 있다. ⓒ서성진 기자
    국내 최대 연예기획사 하이브(HYBE)를 이끌고 있는 방시혁 의장이 자본시장법 위반 혐의로 경찰에 출두했다. 

    15일 오전 9시 55분께 서울 마포구 소재 서울경찰청 금융범죄수사대에 출석한 방 의장은 취재진을 향해 "제 일로 인해 심려를 끼쳐드려 송구하다"며 "조사에 성실하게 임하겠다"고 말한 뒤 청사 안으로 들어갔다. 

    방 의장은 하이브가 상장하기 전인 2019년, 기존 하이브 투자자들에게 IPO 계획이 없다고 한 뒤 사모펀드가 설립한 특수목적법인(SPC)에 지분을 팔도록 한 혐의를 받고 있다. 

    지난해 말 관련 첩보를 입수해 수사에 착수한 경찰은 하이브 본사를 압수수색하고 관련 자료를 확보했다.

    금융위원회 증권선물위원회는 지난 7월 16일 정례회의에서 방 의장이 하이브 상장 후 주식을 매각, 이익을 얻을 목적으로 사모펀드를 활용해 기존 주주와 개인 투자자들을 기망했다고 판단하고 방 의장과 하이브 전 경영진 등 4명에 대해 검찰에 고발 조치하기로 의결했다. 

    증선위는 방 의장과 연관된 사모펀드가 하이브 상장 직후 주식을 대량 매도해 주가 하락폭이 커졌고, 이로 인해 일반 투자자들이 피해를 입었다는 판단이다. 반면 방 의장과 하이브 전 임원들은 총 1900억 원의 부당이득을 챙긴 것으로 보고 있다.

    뿐만 아니라 금융감독원도 특별사법경찰을 통해 방 의장의 자본시장법 위반 여부를 살펴보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 같은 금융당국과 경찰의 움직임에 하이브 측은 지난 7월 "최대주주가 금감원 조사에 출석해 상장을 전제로 사익을 추구한 사실이 없음을 적극적으로 소명한 점이 받아들여지지 않아 안타깝다"면서도 "금융당국의 결정을 존중하며 향후 진행될 수사에서 관련 의혹들을 보다 적극적으로 해명해 시장과 이해관계자 여러분의 신뢰를 회복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논란에 휘말린 방 의장은 지난달 6일 사내 구성원에게 이메일을 보내 "성장의 과정에서 놓치고 챙기지 못한 부족함과 불찰은 없었는지 살피고 있다"며 "제 개인적인 문제가 여러분에게 걸림돌이 되지 않도록 모든 상황을 설명하고 해결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해명했다.

    한편, 하이브는 기존 투자자들이 펀드 만기나 투자 포트폴리오 조정 등 각각의 사정에 따라 지분 매각을 원해서 이에 따른 것이며, 당시 상장을 안 한다고 이들을 속인 바 없다는 입장으로 알려졌다.

    당시 빅히트 소속 아티스트가 방탄소년단뿐이었고, 이들의 병역 문제가 해결되지 않았다는 점 때문에 시장에서 투자처로서 리스크가 부각됐었다고.

    결과적으로 구주주들의 지분 매각이 여의치 않은 가운데 인수 의향을  보인 신규 투자자의 요청에 따라, 상장 불발 시 지분을 되사주는 '풋백 옵션'과 30% 이익 배분이 포함된 주주간 계약을 맺게 된 것이라는 설명이다. 

    더욱이 글로벌 투자 유치가 불발되면서 2020년 들어 상장 추진에 나섰으나, 곧바로 코로나 확산과 세계경기 급락 등 돌발 변수가 발생해 '상장 성공'을 장담하기도 어려웠던 실정이었다는 논리다.

    자본시장법에 밝은 한 전문가는 "방 의장이 투자자들을 속이려 했을 수도 있지만, 하이브 주식을 보유한 기관 투자자들이 BTS의 군 입대 등에 따른 리스크를 피할 요량으로 주식을 매각했을 가능성도 있다"며 "피해자로 지목된 기관 투자자들은 하이브 상장 후 큰 수익을 얻었고 방 의장을 고소하지도 않았다"고 지적했다.
조광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