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산당의 역선전과 역사학계의 왜곡박진경 대령·이승만 대통령에 책임 뒤집어 씌워원인 묻고 결과만 들춰 터무니 없는 보상·위령물 조성
-
-
- ▲ 다큐멘터리 영화《건국전쟁2》(감독 김덕영) 시사회를 찾은 시민들이 2일 오전 서울 CGV용산아이파크몰에서 열린 시사회에 참석하고 있다.《건국전쟁2》는 1945년부터 1950년 6.25 한국전쟁 직전까지 미군 노획 문서와 기록필름 영상 등을 통해 조명한다. 9월 10일 극장 개봉. ⓒ 정상윤 기자
《다큐영화 <건국전쟁 2>를 감상하고》
■ 원인? 결과?
2025년 9월 2일 용산CGV2관에서 <건국전쟁 2>의 사시회가 열렸다.
한국현대사를 소재로 <건국사의 재인식>(도서출판 동문선)을 출판한 덕에 시사회에 초청된 모양이다.
갈까말까 망설이다가《제주 4.3사건》을 다큐멘트를 통해서 진실을 파헤친다기에, 김덕영 감독도 마침내 한국현대사 역사전쟁의 한복판에 뛰어들었구나 하는 생각에서 시사회 시간에 맞췄다.
우리 역사학계는 특히 현대사의 경우 역사적 사건을 원인에서 파악할 것인가, 결과를 놓고 평가할 것인가 를 놓고 갑론을박이 이어져왔다.
이런 분위기에서 김덕영 감독은《4.3사건》을 중심으로 전개된 해방정국의 역사를 과연 어느 입장에서 헤쳐나가는가도 큰 관심거리가 아닐 수 없었다.
■ 공산당 역선전·선동에 부역하는 역사학계
다행히도 김 감독은 영화에서《4.3사건》의 인과(因果)를 정확하고 공정하게 밝혔다.
그간《제주 4.3사건》은 30만명에 달하는 제주 4.3 희생자를 만든 주범으로 공산계열에서는 박진경 대령을 지목하고 그에게 책임을 떠넘겼는데, 그것은 전혀 사실이 아니었다.
박진경 대령은 제주지구 11연대장으로 부임한 지 제대로 공비토벌작전을 한번도 개시하지도 못하고 부임한 지 43일 만에 부대막사에서 잠자다가 군부대에 잠복해 있던 남노당계의 부하장교의 총에 암살당했다.
그러나 공산당 선전원들은《제주 4.3사건》의 모든 피살사건의 책임을 그에게 덮어씌웠다.
또《제주 4.3사건》은 대한민국 정부를 탄생시킬 5.10총선거를 저지하고 나아나 제주를 대한민국의 지배에서 벗어난 별개의 공산기지로 만들기위해 벌린 남노당 주도의 폭동이었다.
이때는 시점이 미군정에서 남한전역의 주권을 장악하고 있었고 이승만은 대통령이 되기 전이라 폭동진압과는 전혀 무관한 자연인 신분이었다.
그러나 공산당들은 4.3폭동에서 발생한 모든 양민희생의 원흉으로 이승만 대통령을 지목하고 규탄 했다.
-
- ▲ 《건국전쟁 2 : 프림덤 파이터》 포스터. ⓒ
■ DJ의 CNN 인터뷰
김덕영 감독은《4.3사건》의 진상을 밝히고 다큐영화의 강점을 살리기위해 자료발굴에 전력을 투구, 1998년 김대중 대통령이 미국 CNN방송과의 인터뷰에서《4.3사건》은 공산당 일으킨 폭동인데 그 과정에서 무고한 양민들의 희생이 너무 컸다고 언급한 뉴스의 원본을 CNN방송국 자료함을 뒤져 찾아내서 이를 화면에 담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이《4.3사건》을 통일을 부르짖는 민중을 국가가 총칼로 진압한 사건이라고 발언 한 것과는 아주 대조된다.
나는 이 영화를 계기로 그간 해방 전후의 혼란 시기에 잘못 알려지거나 왜곡되거나 날조되었거나 묻혀진 수많은 사건들도 훌륭한 감독만 만나면 그 진상이 올바로 밝혀질 전망을 우리 시청자들에게 갖게 해준 점을 높이 평가하고 싶다.
지금 우리 역사학계는 우리나라 건국과정에 관해서는 가능한 한 언급을 피하고 있다.
좌파적 사고를 가진 역사학자들에게 집단적으로 비판린치를 당하거나 따돌림을 당할지도 모른다는 공포감 때문 이다.
《건국전쟁 2》를 제작한 김덕영 감독이 이러한 분위기를 모를 리 없다.
■ 4.3 역사왜곡 역사학계, 기회주의 전형
그러나 김 감독은 학문의 자유와 진리추구의 정신이 분위기적 강제에 눌려 진실밝히기를 꺼리는 상황 윤리에 당당히 맞섰다.
<건국전쟁 1>이 이승만 대통령의 독립과 건국을 향한 애국자의 길을 밝혀낸 웅변이었다면, <건국전쟁 2>는 우리 건국과정의 가장 큰 비극의 하나였던 《4.3사건》이 대한민국의 건국을 방해하려는 남노당이 계획적으로 일으킨 폭동 이었으며 대한민국의 건국을 지지한다는 이유로 수많은 양민을 무차별 학살하고 그 모든 책임의 상당부분을 우리 국군과 이승만 대통령에게 덮어씌운 역사왜곡 의 진상을 관련자들과의 인터뷰를 통해 생생하게 밝혀냈다.
나는 우리나라의 한 역사학자가《4.3사건》을 놓고 역사에서 원인만을 따지는 것은 발생한 비극의 책임을 회피하자는 것이라면서 원인보다는 결과를 놓고 극복해야 할 과제를 찾아야 한다고 주장한 글 한 대목 이 얼핏 머리를 스쳤다.
원인을 묻어버리고 결과만 들추면서 터무니없는 보상과 위령물들을 설치해놓고 역사의 진상을 덮는《4.3 사건론》이야말로 기회주의적 접근의 전형이 아닐 까.
그런 생각이 통용되는 현실이 안타깝다.-
- ▲ 시사회에 참석한 시민들. ⓒ 정상윤 기자

이영일 전 국회의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