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웅동학원 논란 터지자 曺, 환원 약속제자리걸음 母 이사장 연임, 외삼촌 이사 선임지난해 돼서 "2034년 채무 상환 뒤 환원 이행"野 "책임 미루기 용납 안 돼 … 끝까지 추궁"
  • ▲ 조국 전 조국혁신당 대표.ⓒ뉴데일리DB

    '조국 사태' 당시 채무를 상환하고 사회 환원을 진행하겠다던 웅동학원이 2034년에 채무 상환을 마무리하겠다는 계획서를 낸 것으로 확인됐다.

    조국 전 조국혁신당 대표는 2019년 웅동학원의 사회 환원을 약속했는데, 웅동학원은 조 전 대표의 모친인 박정숙 웅동학원 이사장(87)이 사회 환원을 약속한 지 15년이 지나서야 빚을 갚겠다는 계획을 제출한 것이다.

    27일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서지영 국민의힘 의원실이 경남교육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박 이사장은 지난해 11월 15일 경남교육청에 제출한 '이행각서'를 통해 "본인은 학교법인 웅동학원의 사회 환원 및 채무 상환 문제 해결 후 사임하는 것을 이행 각서로 제출한다"고 밝혔다.

    웅동학원이 변제해야 할 채무 잔액은 올 7월 기준 91억 원여로, 부동산을 포함한 법인의 수익용 자산은 약 68억 원으로 파악됐다. 박 이사장은 2025년부터 2034년까지 10년에 걸쳐 웅동학원이 보유한 수익용 자산을 매각해 채무를 상환한 뒤 학원의 사회 환원을 이행하겠다는 입장이다. 박 이사장의 나이가 만 96세가 되는 시점이다.
    ▲ 2024년 11월 13일 열린 웅동학원 이사회 회의록. 웅동학원은 회의를 통해 향후 '10년에 걸쳐(2034년) 채무를 상환한 뒤 사회 환원을 이행한다'는 내용의 안건을 의결했다. ⓒ국민의힘 서지영 의원실

    친족의 웅동학원 이사진 퇴진도 미뤘다. 웅동학원은 2024년 11월 13일 경남교육청에 보낸 공문에서 조 전 대표의 친족이 사임하는 것에 대해 "적임자가 결정되면 사직서를 제출하는 것으로 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고 밝혔다. 사실상 물러날 의사가 없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웅동학원 사회 환원 및 박 이사장 사퇴는 조 전 대표가 문재인 정부의 법무부 장관 후보자 시절에 한 약속이다.

    조 전 대표는 2019년 9월 인사청문회를 앞두고 "웅동학원 이사장인 어머니가 이사장직에서 물러나는 것을 비롯해 가족 모두 웅동학원과 관련된 일체 직함과 권한을 내려놓겠다는 점을 저에게 밝혀왔다"며 "웅동학원은 개인이 아닌 국가나 공익재단에서 운영되도록 관계기관 협의, 이사회 개최 등 필요 조치를 다 하겠다"고 약속했다.

    당시 조 전 대표의 동생 조권 씨와 그의 아내가 웅동학원을 이용해 사익을 편취했다는 의혹이 일자 법인을 국가나 공익재단에 넘기겠다고 대국민 약속을 한 것이다.

    하지만 사회 환원은 6년이란 세월이 흘렀지만 여전히 완료되지 않은 상태다. 법인 이사회 현황에 따르면 박 이사장은 2022년 이사장으로 중임됐고, 2027년까지 자리를 지키게 된 것으로 파악됐다.

    박 이사장이 연임해 임기가 2027년 7월까지 연장된 상황에서 지난해 박 이사장의 친동생이자 조 전 대표의 외삼촌인 박모 씨도 추가로 웅동학원 이사로 선임됐다. 그의 임기는 2028년 9월이며, 교육청에 따르면 박 이사의 주요 경력은 부산관광공사 관광해설사다.


    논란이 되자 박 이사장은 지난해 4월 입장문을 통해 "사회 환원 약속대로 웅동학원을 국·공립화하기 위해 중앙정부나 지방정부에 요청했으나 현재까지 모두 난색을 표하고 있다"며 "그렇다고 대책 없이 이사장 자리에서 내려오는 것은 학생들에게 피해가 갈 수 있어 책임 있는 자세가 아니기에 아직 자리를 유지하고 있는 것"이라고 해명했다.

    이어 "오늘이라도 정부가 국·공립화 요청을 전향적으로 받아 주거나 웅동학원을 잘 이끌어줄 공익재단이 나타난다면 즉시 모든 것을 내려놓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와 관련해 경남교육청은 지난해 웅동학원에 '사회 환원 선언' 이행 여부와 이에 대한 구체적인 추진계획, 채무 상환 계획 등을 제출하라고 수차례 요구했다.

    경남교육청은 지난해 3월 웅동학원에 공문을 보내 채무 상환 노력 모색 촉구와 구체적 추진 계획을 2024년 4월 17일까지 제출하라고 했다. 그러나 웅동학원은 경남교육청에 "이사 정족수가 되지 않았다"며 "제출 연기를 요청한다"고 답했다.

    이후 웅동학원 이사회가 그해 4월 19일 회의를 연 뒤 경남교육청에 제출한 답변서에는 "결정을 내리지 못했다"면서 다시 채무 상환 계획서 제출을 미뤘다.

    이에 경남교육청은 같은 해 5월에도 다시 채무 상환 노력을 촉구했다. 아울러 경남교육청은 2024년 9월에도 "구체적인 채무 상환 계획을 2024년 10월 7일까지 제출해 달라"고 공문을 다시 보냈다.

    사회 환원 문제의 지지부진한 상황은 국회에서 논란이 됐다. 지난해 국회 교육위 국정감사에서 웅동학원 사회 환원 진행 과정이 미진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그러자 경남교육청은 2024년 10월 웅동학원에 이사장의 입장문대로 이사장을 포함한 친족의 법인 이사에서 물러날 것을 권고하며 채무 상환에 대한 안건을 확정해 같은해 11월 4일까지 제출하라고 요구했다. 하지만 웅동학원이 묵묵부답으로 일관하자 교육청은 며칠 뒤인 11월 5일과 8일 또 다시 공문을 보내 결과 제출을 독촉했다.

    웅동학원은 2024년 11월 13일이 돼서야 이사회 회의를 통해 '한국자산관리공사 채권 상환이 완료되면 향후 법인 이사회의 결정에 따라 행정적 절차를 이행할 예정'이라는 내용을 의결한 뒤 2034년까지 채무를 변제하겠다는 계획을 교육청에 제출했다. 

    조 전 대표가 자녀 입시 비리와 청와대 감찰 무마 등 혐의로 대법원에서 징역 2년형을 선고받기 한 달 전 일이다.

    친족의 사임에 관련해서도 "적임자가 결정되면 사직서를 제출하는 것으로 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고 밝혔다.

    국민의힘에서는 웅동학원 측이 사실상 '버티기'에 들어간 것 아니냐고 의심한다. 서지영 의원은 "국민과의 약속을 저버리고 책임을 미루는 행태는 도저히 용납될 수 없다"며 "국민 기만의 상징이 된 웅동학원 사태를 국회 차원에서 끝까지 추궁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손혜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