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서 충격적 발언 이어 정상회담 과정서도 "교회 미군기지 압수수색 사실이면 너무 나쁜 일"李 "친위 쿠데타 혼란 극복중 … 특검, 미군 아닌 한국군 통제 시스템 확인" 해명
-
-
- ▲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5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백악관에서 정상회담을 하고 있다./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5일 이재명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을 앞두고 한국의 현 상황과 관련해 '숙청' '혁명'과 같은 단어를 쓰면서 "지금 한국과 같은 상황에서는 우리가 사업을 할 수 없다"고 밝혀 충격을 주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정상 회담 과정에서도 "교회와 미군기자 압수수색이 사실이라면 너무 나쁜 일"이라고 했고, 이재명 대통령은 이에 대해 "친위 쿠데타 혼란을 극복중"이라며 "특검이 미군이 아닌 한국군 통제 시스템 확인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 대통령의 설명에 "오해라고 생각한다"며 일단 한발 물러섰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정상 회담을 앞두고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대한민국에서 지금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느냐. 숙청이나 혁명처럼 보인다"고 썼다.
트럼프는 이어 "그런 상황에서는 우리가 그곳에서 사업을 할 수 없다. 나는 오늘 백악관에서 새 대통령을 만날 것"이라고 밝혔다.
트럼프의 이러한 반응은 이날 백악관에서 이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을 불과 3시간도 남기지 않은 상황에서 터졌다.
일각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숙청, 혁명' 등의 용어를 사용한 것과 관련, 최근 진행되고 있는 내란 특검과 윤석열 전 대통령의 구속 수사 및 한덕수 전 총리 등 전임 정부 인사 등에 대한 고강도 수사 국면 등을 겨냥한 것 아니냐는 해석을 내놓고 있다.
한국 국회에서 통과된 '노란봉투법'으로 한국GM 등의 철수설이 나오는 것과 연관된 것 아니냐는 해석도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어 백악관에서 열린 행정명령 서명식에서 '혁명 숙청' 발언에 대한 의미를 부연해 달라는 질문을 받고 "한국의 새 정부가 최근 며칠 간 교회에 대해 매우 잔인한 단속을 벌이고, 심지어 우리 군사 기지에 들어가 정보를 수집했다고 들었다"며 "그렇게 해서는 안 될 일이며 나쁜 소식을 들었다. 진실인지 아닌지 모르겠으나 새 대통령을 만나 확인해볼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 대통령과의) 만남을 기대하고 있지만, 그런 일이 있다면 우리는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며 "절대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배정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