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차 34대 연쇄 통과 … 시민들 "출근길 마비" 불편 호소전장연 "장애인 권리예산 반영하라" … 9월 대규모 시위 예고서울교통공사 "불법 시위로 인한 조치 … 현재는 정상 운행"
-
-
- ▲ 18일 오전 서울 지하철 4호선 열차 내부에서 박경석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전장연) 상임공동대표가 장애인 권리 예산 반영을 요구하며 시위를 벌이고 있다. 2025.08.18. ⓒ전장연 페이스북 캡쳐
시민단체의 시위로 서울 지하철 4호선 열차가 18일 오전 약 1시간 동안 명동역에 정차하지 않고 통과했다. 이로 인해 상·하행 열차 34대가 무정차로 역을 통과했고, 이용객들은 인근 역에서 하차해 도보로 이동했다.
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전장연)는 이날 오전 7시 30분께부터 명동역 승강장에서 '장애인 권리 예산' 반영을 촉구하며 지하철 탑승 시위를 벌였다.
이들은 열차에 오르려는 시도를 반복하며 교통공사 직원들과 대치했고 이 과정에서 열차 운행이 지연됐다.
이에 서울교통공사는 오전 8시 32분부터 상행선 18대, 하행선 16대 열차를 명동역에 정차시키지 않고 통과시켰다.
무정차 조치는 1시간 가까이 이어졌고 경찰과 공사 측은 오전 9시 27분 활동가들을 강제로 퇴거시켰다. 열차는 이후 오전 9시 32분께 정상 운행을 재개했다.
전장연은 "정부가 장애인 권리 예산을 외면하고 있다"며 이재명 정부를 겨냥했다. 이들은 18일부터 매일 오전 7시 30분에 지하철 열차 안에서 선전전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단체 측은 "2026년 예산안에 장애인 권리 예산이 반영되지 않는다면, 유보했던 지하철 탑승 시위를 9월 5일부터 재개할 것"이라고 예고했다.
이날 시위로 시민 불만도 터져 나왔다. SNS에서는 "명동역에 내려야 하는데 어떻게 하냐", "회현역에 내려서 걸어가느라 지각했다"는 글이 이어졌다.
전장연은 시위 배경으로 "기획재정부와 보건복지부가 장애인권리예산을 외면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단체는 "광복절 국민임명식에서도 장애인은 초청되지 않았고, 휠체어석조차 없었다"며 정부의 '비장애 중심주의'를 비판했다. 또한 "중증장애인 노동자 400명 해고 문제도 여전히 해결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서울교통공사는 "특정 장애인 단체의 불법 시위로 인해 명동역 열차가 일시적으로 무정차 통과했으나 오전 9시 32분부터는 정상 운행 중"이라고 밝혔다.

김상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