측근 기용 계획, 발표 당일 자진 사퇴로 종결총리실, 이유 비공개 …인사 기록도 남지 않아
-
-
- ▲ 김진욱 전 더불어민주당 당대표실 국장. ⓒ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의 오랜 측근으로 알려진 김진욱 전 더불어민주당 당대표 비서실 국장이 국무총리실 정무협력비서관으로 임명될 예정이었으나 임명 발표 당일 사의를 표명했다.
총리실은 7일 밤 "8일 임용이 예정됐던 김 비서관은 일신상의 이유로 임용 의사를 자진 철회해 임용이 이뤄지지 않았음을 알려드린다"고 밝혔다.
대통령 재가까지 마친 인사였지만, 김 씨가 임용 의사를 자진 철회한 구체적인 이유는 알려지지 않았다.
임용 시효 이전에 임용이 철회된 만큼 인사기록 상에도 남지 않은 채 처리된 것으로 전해졌다.
김 씨는 1974년 서울에서 태어나 잠실고와 서울디지털대 경영학과를 졸업한 뒤 지방행정 조직과 정당을 오가며 실무 경력을 쌓아왔다.
김 씨는 이재명 대통령이 성남시장으로 재임하던 2014년부터 수행비서로 근무하며 정무적 동행을 시작했다.
이 대통령이 2018년 경기지사에 당선되자 5급 상당의 경기지사 의전비서관으로 발탁됐고, 이 대통령이 2022년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되자 김 씨는 다시 수행비서로 활동했다.
대선 패배 뒤 민주당 대표에 오른 이 대통령 곁을 지키며 당대표실 국장급 당직자로 채용됐고, 이 대통령이 21대 대선에 출마하자 민주당 대선후보 직속 기본사회위원회 부위원장 등을 지냈다.
이번 총리실 정무협력비서관직은 고위공무원단 '나'급(2급) 상당으로, 당정 간 정무적 소통을 담당하는 직위다.
총리실은 당 출신인 김 씨를 통해 당과 정부를 잇는 가교 역할을 기대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측근 인사라는 점에서 자격 논란이 제기돼 온 김 씨를 중용하려던 인사가 무산되면서 인사 검증 기준과 정치적 부담이 다시 도마에 오를 가능성도 제기된다.
정치권에서는 논란 조기 진화 차원에서 자진 사의 형식을 취한 것 아니냐는 해석도 조심스럽게 나오고 있다.
이기인 개혁신당 사무총장은 이날 페이스북을 통해 "김 씨는 성남 지역 폭력 조직과 함께 오피스텔 보안용역 사업권을 빼앗기 위해 빠루(쇠 지렛대)로 철문을 뜯고 경비원을 폭행한 사건에 가담한 일로 구속됐다가 집행유예로 풀려난 전력이 있다"며 "다시는 이런 인사가 대통령의 '친소 관계'라는 이유만으로 고위공직에 오르는 전례를 결코 반복해서 안 된다"고 주장했다.
한편, 김 씨는 2007년 9월 성남 지역 폭력 조직인 종합시장파와 국제마피아파 등과 연계된 무허가 경비업체 '특별경호단'의 불법 행위에 연루돼 징역 6월에 집행유예 1년을 선고받았다.
또한 20대 대선 당시 고 김문기 성남도시개발공사 개발1처장을 "몰랐다"는 이 대통령 발언의 진위를 둘러싼 허위사실공표 혐의 재판에서도 김 씨는 2015년 호주·뉴질랜드 출장 사진 속 인물로 등장해 관심을 받기도 했다.
총리실은 앞서 김 씨의 임용을 발표하면서 정무실장에 이후삼 전 민주당 의원, 민정실장에 신현성 민주당 충남도당 수석부위원장, 공보실장에 최혜영 전 민주당 의원, 시민사회비서관에는 오광영 대전 중구 정책보좌관, 소통메시지비서관에는 신현호 전 통일부 장관 정책보좌관을 임용한다고 밝혔다.
김 씨를 제외한 이들은 8일부로 모두 정상적으로 업무를 시작했다.

조문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