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펀드, 韓 기업 수요 기반 프로젝트에 사용""농축산물 개방 … 민감성 고려 추가 개방 않기로"
-
-
- ▲ 김용범 정책실장이 31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미국과 관세 협상 타결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뉴시스
대통령실이 미국과 협의를 통해 기존 상호 관세 25%에서 15%로 인하하기로 한 협상 결과를 발표했다. 특히 우리 농업의 민감성을 고려해 쌀과 쇠고기 시장은 추가 개방하지 않기로 했다.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31일 오전 서울 용산구 대통령실에서 브리핑을 열고 "오늘 새벽 한국 정부는 미국 정부와 관세 협상을 타결했다. 미국이 한국에 8월 1일부터 부과하기로 예고한 상호 관세율 25%는 15%로 낮아졌다"고 말했다.
김 실장은 "우리의 주력 수출 품목인 자동차 관세도 15%로 낮췄다"면서 "추후 부과가 예고된 반도체, 의약품 관세도 다른 나라 대비 불리하지 않은 대우를 받게 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김 실장은 "미국과의 협의 과정에서 우리 농축산물 시장 개방에 대해 강한 요구가 있던 것은 사실"이라며 "그러나 식량 안보와 우리 농업의 민감성을 감안해 국내 쌀과 쇠고기 시장은 추가 개방하지 않는 것으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한·미 조선 협력 펀드 1500억 달러는 선박 건조와 MRO(유지·보수·정비), 조선 기자재 등 조선업 생태계 전반을 포괄하며 우리 기업들의 수요에 기반해 구체적 프로젝트에 투자될 예정"이라고 부연했다.
조선 협력 펀드를 포함한 한국의 대미 투자 펀드 총액은 3500억 달러로 결정됐다.
김 실장은 "조선 분야 외에도 반도체, 원전, 2차 전지, 바이오 등 우리 기업들이 경쟁력을 보유한 분야에 대한 대미 투자 펀드도 2000억 달러가 조성될 예정"이라며 "우리 기업이 전략적 파트너로서 참여하게 될 가능성이 크고, 미국 진출에 관심 있는 우리 기업에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배정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