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처장, 김 여사 사과에 "문명 발전 역할"공익제보자에 2차 가해성 발언도 서슴없어"공익 제보한 것처럼 하고, 저의가 의심스럽다"
-
-
- ▲ 최동석 인사혁신처장이 23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이재명 대통령의 임명장 및 위촉장 수여를 돕고 있다. ⓒ뉴시스
과거 발언 논란에 휩싸인 최동석 인사혁신처장이 이재명 대통령의 배우자 김혜경 여사가 경기도 법인카드 유용 의혹을 사과한 것에 대해 "대한민국 문명을 한 차원 높였다"고 극찬했다. 이를 폭로했던 공익제보자 조명현 씨를 두고는 "저의가 의심스럽다"고 2차 가해성 발언을 하기도 했다.
27일 정치권에 따르면 최 처장은 2022년 2월 10일 유튜브 '김용민TV' 인터뷰에서 김 여사의 법인카드 유용 논란과 의전에 대한 사과를 칭찬했다. 김 여사가 공식 석상에서 사과를 한 바로 다음날이다.
그는 "김혜경의 사과는 대한민국의 문명을 한 차원 높이는 역할을 했다. 엄청난 것"이라며 "한국의 문명을 발전시킬 수 있는 역할을 할 것"이라고 했다.
최 처장은 그 이유로 김 여사의 사과로 개선해야 할 점이 드러났다는 점을 꼽았다. 그는 "지금까지 우리의 관행은 공과 사를 구분하는 기준이 매우 모호했다"면서 "김혜경의 사과를 보면, 자기가 그런 것을 잘 몰랐다는 거다. 앞으로 우리 사회가 어떻게 발전해야 되냐, 공사를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점을 깨달은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김혜경의 사과는 공과 사를 명확히 구분하는 경종을 울려주는 사과"라고 했다.
앞서 김 여사는 2022년 2월 9일 서울 여의도 민주당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법인카드 유용 의혹과 과잉 의전 논란에 대해 직접 사과했다. 그는 "언론에 보도되는 배모 사무관은 오랫동안 인연을 맺어온 사람이다. 오랜 인연이다 보니 때로는 여러 도움을 받았다"며 "공직자의 배우자로서 모든 점에 조심해야 하고 공과 사의 구분을 분명히 해야 했는데, 제가 많이 부족했다"
경기도 여사팀으로 불리며 김 여사를 보좌했던 7급 공무원 출신 조씨는 각종 생활잡기와 식사비용을 경기도 법인카드로 사용해 왔다고 폭로했다. 5급 공무원이던 배모 씨의 지시를 받고, 생활용품을 사다 채워 넣거나, 이 대통령 자택에 음식을 배달하는 등 각종 사적인 업무를 처리했다는 것이다.
최 처장은 법카 유용과 과잉 의전 의혹을 최초로 제보했던 공익제보자 조명현 씨에 대해 부정적인 견해를 드러내며 김 여사를 감쌌다. 김 여사를 보좌하던 사무관 배모 씨와 조씨가 김 여사에게 잘 보이려 김 여사와 관계 없이 과잉 의전을 했다는 것이다.
그는 "5급 직원 사무관이 자기(김 여사)와 아주 잘 알기 때문에 인물이 없었던 것이다. 둘 사이에는. 그니까 이것저것 시켜서 예우받은 의전받은 건 사실인 것"이라며 "그렇지만 5급 직원이 잘보이기 위해서 7급 직원한테 이런 걸 시켰던 모양이다. 하급 직원이 그걸 다 녹음했다가 지금 풀어내면서 공익 제보한 것처럼 하고, 저의가 의심스럽다"고 했다.
야당은 공익제보자에게 2차 가해를 하는 최 처장이 공직자의 패러다임을 제시해야 할 인사혁신처장에 어울리지 않는다는 입장이다. 해당 사건에 대해 검찰 기소가 이뤄지고 조씨가 국민권익위원회로부터 공익신고자 지위를 인정받은 상황에서 최 처장의 이같은 발언은 매우 경솔하다는 지적이다.
실제 해당 사건은 재판을 앞뒀다가 현재 중지된 상태다. 이 대통령은 경기도 법인 카드 사적유용 혐의로 지난해 11월 19일 기소됐다. 경기도지사 시절인 2018년 7월부터 2021년 10월까지 경기도 관용차를 개인적으로 사용하고 경기도 예산으로 자기 식사비와 과일 값, 세탁비 등을 결제하는 등 총 1억653만 원을 쓴 혐의를 받는다. 이 재판은 이 대통령이 대선에서 승리하며 중단됐다.
국민의힘의 한 중진의원은 이날 뉴데일리와 통화에서 "피해자를 자신의 정치적 방향에 따라 순식간에 가해자로 둔갑시키는 사람이 어떻게 인사혁신처장을 맡을 수 있느냐"면서 "김혜경 여사의 사과가 한국 문명을 바꾸는 사과라니 이런 아첨꾼을 발굴하기도 힘들 것"이라고 했다.

오승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