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가 반려' 논란에 자신의 심경 밝혀"휴가 신청 행위 비난은 프레임 조작"
  • ▲ 이진숙 방송통신위원장이 지난 7일 국회에서 열린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해 의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이종현 기자

    이재명 대통령으로부터 휴가 신청이 반려되며 논란이 됐던 이진숙 방송통신위원장이 황당한 심경을 전했다. 통상적인 휴가 신청에 불과했던 일을 정쟁화해 자신에게 프레임을 씌우고 있다는 것이다.

    이 위원장은 27일 페이스북을 통해 "직장 생활을 40년 가까이 했지만 휴가 신청이 반려된 것은 난생 처음이고, 적잖이 씁쓸한 기분이다. 기관장이 휴가 신청을 한 것이 기사가 되고, 휴가 신청이 반려가 된 것도 기사가 되는 대한민국"이라며 "기관장 휴가 ‘신청’에 국회의원들이 논평하는 상황까지 발생했다. 그렇게 중요한 기관인데, 지금 상임위원 단 한 명으로 중요한 안건들을 심의.의결하지 못하고 있다. 대통령 몫 한 명, 국회 추천 세 명이 아직 임명되지 않았다"고 했다. 

    앞서 대통령실은 지난 22일 공지를 통해 "강훈식 대통령실 비서실장은 재난대응 심각 단계에서 재난방송 컨트롤타워인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의 휴가신청은 부적절하다고 보아 휴가 신청을 반려했다"고 했다. 폭우로 전국적인 물난리가 발생한 상황에서 휴가가 부적절하다는 취지다.

    하지만 이 위원장은 이번 '휴가 반려 소동'이 통상적인 절차였을 뿐이라고 설명했다. 이 위원장은 "휴가 신청은 행정 절차이며, 장관급의 휴가 신청은 실행 일주일 전에 하도록 되어 있다"면서 "휴가를 신청한 18일과 휴가를 실시할 예정이던 25일 사이에는 일주일이라는 시간이 있었다. 일주일이라는 시간은 충분히 변수가 개입될 여지가 있는 시간"이라고 했다. 

    이어 "만약 휴가 실시 전, 23일이나 24일, 폭우가 쏟아지는 등 자연재해가 있었거나 그 밖의 비상 상황이 발생한다면 휴가 실시는 당연히 없던 일이 될 것이다. 그것은 상식이다"고 했다. 

    또 이 위원장은 "어느 기관이든 휴가 신청은 미리 이뤄져야 하는데, 장관 휴가와 차관 휴가는 겹치면 안 되기에 기관 내 간부들의 휴가 일정을 미리 파악하여, 업무 공백이 생기지 않도록 해야 한다"면서 "모든 간부의 휴가 일정이 한꺼번에 겹치게 되는 불상사를 피하기 위해 사전에 일정을 파악하고 조정하는 것은 필수"라고 했다. 

    그는 "재난 중에 휴가를 갔다면 비난을 달게 받겠으나, 재난 중에 휴가 신청을 한 것을 두고 부적절하다고 지적하는 것은 또 다른 프레임 조작"이라며 "평생 일 욕심 많다는 이야기를 들어온 나로서는 휴가 반려 소식에 황당함과 씁쓸함을 느낄 뿐"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어떤 공무원이라도 부적절한 휴가 사용은 비난받아야 하지만 휴가 신청이라는 행위를 처벌(휴가 반려는 처벌의 성격이 있다고 본다)한다는 것을 어떻게 설명하랴"고 했다.

    자신의 기자 시절 에피소드를 전하기도 했다. 이 위원장은 MBC 기자 시절이던 2003년 이라크 전쟁 당시 종군 기자로 활약하기도 했었다. 

    이 위원장은 "나는, 대한민국의 기자가 중요한 역사적 사건인 이라크전쟁을 취재해야 한다는 '대의'를 실현하기 위해 바그다드로 진입했던 기록이 있다"면서 "휴가를 신청했다고 비난·비판하는 것은 선진 대한민국에서 일어날 일이 아니다. '대의'를 위해 목숨을 걸어봤던 전력이 있는 사람들만 나에게 돌을 던지라"고 했다.




오승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