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업 협력 중요성 강조 … 관세 완화 요구""한·미 협상 품목에 농산물 등도 포함"
-
-
- ▲ 김용범(왼쪽) 정책실장과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이 25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통상대책회의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뉴시스
대통령실이 상호 관세 유예 시한을 앞두고 한미 간 협상과 관련해 "8월 1일 이전까지 상호 호혜적 타결 방안 도출에 대한 의지를 재확인했다"고 밝혔다.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25일 오후 서울 용산구 대통령실에서 브리핑을 열고 "양측은 조선, 반도체를 비롯한 전략 제조업 분야에서 상호 협력의 중요성을 재차 확인하고 앞으로 그 협력 방안을 구체화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대통령실은 이날 강훈식 대통령비서실장 주재로 통상대책회의를 열고 관세 협상 전략을 논의했다. 회의에는 김 실장과 위성락 국가안보실장, 구윤철 경제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윤창렬 국무조정실장 등이 참석했다.
김 실장은 "우리 측은 양국 간 제조업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자동차 등 품목별 관세와 상호 관세 완화를 미국 측에 강하게 요청했다"고 강조했다.
미국에 체류 중인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은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 대표, 하워드 러트닉 상무 장관과 25일(미국 현지시간) 추가 협의를 이어 가기로 했다.
김 실장은 "정부는 현지 협상단과 긴밀한 협의를 통해 국익 최우선의 원칙 아래 한미 간 상호 이익이 될 수 있는 협상 결과를 도출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대통령실은 미국과 관세 협상에 있어 쌀·소고기 시장 확대 등 농산물과 관련해 협상안 논의에 포함됐다고 밝혔다. 김 실장은 "협상 품목엔 농산물도 포함돼 있다"고 했다.
30개월령 이상 미국산 소고기 수입 재개는 관세 협상 국면에서 정부가 제시할 가능성이 높은 카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30개월령 이상 소고기 수입을 금지한 나라는 러시아와 벨라루스를 제외하면 한국이 유일하다며 월령 제한 압박을 이어왔다.

배정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