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훈 시장, 현장 방문해 사업 정상화 방안 발표최고 15층·용적률 250%로 상향공공기여율도 최대 2%로 완화 검토
-
서울 중구 신당동 9구역 재개발 사업이 20년 가까운 지연 끝에 본격적인 정상화 수순에 들어갔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24일 해당 구역을 직접 찾아 고도지구 규제 완화 1호 적용 대상지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이에따라 최고층수가 기존 7층에서 15층으로 확대하고, 용적률은 161%에서 250% 이상으로 상향된다. 종상향 시 부과되던 공공기여율은 최대 10%에서 2% 이하로 대폭 완화하는 방안도 추진된다. 이에따라 신당9구역은기존 315가구에서 약 500가구 이상으로 확대할 수 있게 돼 사업성 전반이 향상될 것으로 보인다.
신당9구역은 2005년 추진위 구성, 2010년 정비구역 지정, 2018년 조합 설립까지 마쳤지만 남산고도지구 제한과 소규모 개발 한계로 사업성이 낮아 오랜 기간 정체돼 있었다. 남산 숲세권과 버티고개역 역세권이라는 입지에도 불구하고 개발이 지연돼 왔다.
오 시장은 이날 현장에서 최고높이 기준을 기존 28m에서 45m로 완화하고 이에 따라 현행 7층에서 최대 15층까지 건축이 가능하도록 규제를 손본다고 밝혔다. 용적률도 161%에서 250% 이상으로 확대해 가구 수를 기존 315가구에서 약 500가구 이상으로 늘리는 방안을 제시했다.
이번 조치는 서울시가 시행 중인 고도지구 완화 정책의 첫 적용 사례다. 오 시장은 종상향 시 의무화됐던 공공기여율을 기존 10%에서 최대 2%까지 줄이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제도는 용도지역 상향으로 확보되는 용적률을 현실적으로 활용하지 못했던 기존 구조를 개선하기 위해 도입됐다.
신당9구역은 현재 1만8651㎡ 부지에 공동주택 8개 동, 315가구 규모로 계획돼 있으며 향후 규제 완화가 현실화되면 가구 수 확대 및 사업성 개선 폭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
오 시장은 "입지 여건은 우수하지만 규제 때문에 수년째 사업이 묶여 있었다"며 "이제는 가시적인 변화를 만들어야 할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또 "현장 중심으로 정비사업 정상화를 촉진하겠다"고 덧붙였다.
서울시는 해당 지역을 시작으로 규제로 정체된 재개발 구역들에 대해 현장 실사 및 추가 완화 적용을 검토할 계획이다.
한편, 서울시는 2021년 신속통합기획 도입 이후 정비사업 활성화에 속도를 내고 있으며 내년 6월까지 총 31만2000호 규모 정비구역 지정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는 당초 목표치인 27만 호 대비 16% 이상 많은 수치다.

김승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