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진숙, 장관 못할 만큼 자질 부족하지 않아""내각 구성 때 여성 할당 30% 규정 감안"
-
-
- ▲ 이진숙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16일 오전 국회 교육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 출석해 의원들의 질의를 듣고 있다. ⓒ이종현 기자
더불어민주당이 17일 이진숙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의 논문 표절 의혹에 대해 '대체로 소명됐다'고 평가했다.
김현정 민주당 원내대변인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정책조정회의를 마친 뒤 "이진숙 후보자에 대한 의혹이 크게 두 가지였다"며 "자녀 조기 유학과 관련해서는 사과를 했고, 논문 표절과 관련해선 어제 대체적으로 다 소명이 됐다고 인사청문위원들이 얘기를 했다"고 말했다.
이어 이 후보자의 인선 배경에 대해 "내각을 구성할 때 여성 할당 30% 규정이 있었고, 지역도 있었다"라며 "그런 것을 감안하고 봐줬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김 원내대변인은 "연구 윤리 규칙에 의하면 이공계 같은 경우 교수가 주요 국가 과제나 연구과제를 수주해 오면 제자들과 같이 연구하는 과정에서 교수를 제1저자로 등재하는 것이 관행이고 원칙이라는 것이 확인됐다"며 "그 문제에 대해서는 많이 해명이 된 것 같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업무 역량과 능력 관련해서는 상대적 평가이기 때문에 다양한 관점이 존재할 수 있다"며 "교육부 장관을 수행하는 데 수행을 못할 만큼의 자질이 부족하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부연했다.
이 후보자는 전날 인사청문회에서 자신의 교수 시절 논문 표절 의혹에 대해 "약 100편의 논문을 충남대가 외부 전문가들과 함께 검증했고, 모두 (표절률이) 10% 미만이라고 판정받았다"고 주장했다.
제자 논문 가로채기 의혹에 대해선 "논문 작성 기여도를 따져 제1저자를 결정한다"며 "이공계에선 대학원생이 지도 교수가 수주해 온 국가 과제나 연구 과제로 학위 논문 연구를 하며, 저는 제자와 같이 공동으로 연구해 제1저자로 오른 경우는 전체의 30% 정도"라고 해명했다.
이에 김민전 국민의힘 의원은 "이공계 교수들한테 전화가 많이 왔다"며 "'내가 연구 과제 수주해서 학생 연구시키고 제1저자로 만들고 나는 교신 저자를 했는데, 이렇게 사는 우리는 바보냐'라고 하더라"라고 비판했다.

이지성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