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범위한 합의 이를 것으로 기대 안 해"日 참의원 선거 앞두고 '트럼프 관세' 대응에 한계"인도와의 합의는 매우 근접"…네 번째 합의국 임박
-
-
-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백악관에서 바레인 왕세자 살만 빈 하마드 알 칼리파 총리와 회담하는 자리에서 기자들의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UPI=연합뉴스.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16일(현지시각) 일본에 예정대로 내달 1일부터 25%의 상호관세를 부과하게 될 가능성이 크다는 입장을 밝혔다.
로이터통신, 연합뉴스 등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워싱턴 D.C. 백악관 집무실에서 살만 빈 하마드 알 칼리파 바레인 왕세자(총리)와 회담하는 자리에서 기자들의 질문에 "우린 그들(일본)과 협상하고 있지만, 광범위한 합의에 이를 것으로 기대하지는 않는다"고 답했다.
결국 현재로서는 이달 말까지 일본과 무역합의를 도출할 가능성이 작기 때문에 7일 일본에 서한으로 통보한 25%의 상호관세를 예정대로 내달 1일부터 부과하게 될 것 같다는 취지로 해석된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7일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한국과 일본을 시작으로 총 14개국에 보내는 관세 서한을 연이어 올리는 등 지금까지 20여개국에 새로 설정한 관세율을 통보했다.
일본에는 4월 책정했던 상호관세율(24%)보다 1%P 높은 25% 세율을 내달 1일부터 적용하겠다고 통보했다.
일본은 낮은 지지율의 이시바 시게루 내각이 20일 국정의 중대 고비인 참의원(상원) 선거를 치를 예정인 만큼 미국의 농산물시장 개방 등 요구에 유연성을 발휘하기 어려운 입장인 것으로 관측통들은 보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에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한국을 포함한 몇몇 국가들이 무역을 "개방할" 의지가 있음을 시사했으나, 일본은 그렇지 않다고 평가했다.
반면 이날 트럼프 대통령은 "인도와의 무역합의에 매우 근접했다"고 밝혀 영국, 베트남, 인도네시아에 이어 인도와의 무역합의 도출 가능성을 언급했다.
인도 무역대표단은 협상을 위해 13일 워싱턴에 도착했고, 이날도 추가로 협상 관계자들이 도착할 예정이다.
한편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무역대표부(USTR) 대표는 이날 디트로이트에서 열린 기업인들과의 행사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정책과 관련, "전 국가에 대해 보편적인 10% 관세율을 기본으로 하면서도 '가장 문제적인 국가들'에는 더 높은 세율이 적용된다"며 "이 국가들이 미국에 투자하겠다면 대통령은 협상에 열려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미국의 기초 제조업뿐만 아니라 첨단 제조업도 점진적으로 쇠퇴하고 있다"며 "1조2000억달러(약 1경6656조원)에 달하는 무역적자를 줄이고 미국의 첨단 제조능력 손실을 막는 데 주력하고 있다"고도 말했다.

성재용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