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장관 인사청문회 서면 답변 통해 밝혀국민검증단 "16개 논문 표절 … 자진 사퇴해야"
-
-
- ▲ 이진숙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30일 오전 서울 여의도 한국교육시설안전원에 마련된 인사청문회 준비 사무실로 출근하며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진숙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논문 표절 여부는 전문가로 구성된 조사위원회 검증 과정을 거쳐야 한다는 취지의 입장을 밝혔다. 앞서 범학계 국민검증단이 이 후보자가 작성한 논문 16편이 연구 윤리를 위반했다며 자진 사퇴를 촉구한 것과 배치되는 주장이다.
15일 정치권에 따르면 이 후보자는 국회 교육위원회에 제출한 인사청문회 서면답변에서 '후보자가 판단하는 논문 표절의 수준'을 묻자 "표절은 전문가로 구성된 조사위원회에 의해 공식적인 검증 과정을 거쳐 판정돼야 한다"고 답했다.
앞서 김건희 여사의 논문 검증을 주도한 한국사립대학교수연합회 등 11개 교수단체로 구성된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 논문 표절 의혹 검증을 위한 범학계 국민검증단'(검증단)은 지난 14일 기자회견을 열고 "이 후보자는 교육계의 양심 회복과 이재명 정부의 성공을 위해 자진해서 사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검증단은 지난 4일부터 이 후보자의 논문 150여 편을 검증한 결과 문제가 된 논문이 총 16편에 달한다고 밝혔다. 학계에서는 통상 표절률이 20%를 넘으면 다른 논문을 베낀 것으로 간주하는데, 이 후보자의 논문 13편이 표절률 20%를 넘긴 것이다.
이 후보자는 '제자 논문 가로채기' 의혹도 받는다. 검증단에 따르면 이 후보자가 제자의 학위 논문임을 밝히지 않고 제1저자로 학술지에 발표한 논문이 총 8건으로 집계된다고 주장했다.
한편, 이 후보자는 청문회 서면답변에서 "연구 윤리는 부정행위 방지를 넘어 연구의 정직성, 투명성을 보장하고 학문 발전과 후속 세대에 대한 책임을 의미한다"며 "연구자들이 연구윤리를 준수함으로써 연구에 전념할 수 있는 합리적이고 자율적인 환경과 문화가 조성된다"고 강조했다.
이 후보자에 대한 국회 인사청문회는 오는 16일 열린다. 문금주 더불어민주당 원내대변인은 "이공계 쪽하고 인문계 쪽 논문 표절 기준이 다르지 않냐는 당내 의견이 있었다"며 "내일 청문회 석상에서 어떻게 소명되는지가 중요할 것"이라고 밝혔다.

어윤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