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밝힌 일부 국가 관세율 '협박용' 아닌 실제 적용 가능성트럼프가 만족하는 합의 결과인지가 기준
-
-
-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출처=로이터ⓒ연합뉴스
미국 백악관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을 포함한 각국과의 무역 협상에서 원하는 결과를 얻지 못하면, 당초 시한으로 제시한 8월1일부터 실제로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미국이 각국에 통보한 관세가 '협박용'에 그치지 않는다는 메시지를 공표한 것이다.
13일(현지시각) ABC에 따르면 케빈 해싯 백악관 국가경제위원장은 이날 인터뷰에서 각국에 대한 관세율 통보가 '협상전술'인지, 실제 관세를 부과할 것인지에 대한 질문에 "대통령이 생각하기에 충분히 좋은 합의 결과를 얻지 못하면 관세는 진짜로 부과될 것"이라고 답했다.
그러면서 "대화는 계속되고 있고 어떻게 되는지 지켜 보겠다"고 말했다.
해싯 위원장은 앞서 12일 트럼프 대통령이 유럽연합(EU)와 멕시코에 각각 30%, 캐나다에 35% 등 일부 국가에 관세율을 발표하면서 다음달 1일부터 상호관세 부과를 할 것이라고 발표한 데 대해 "트럼프 대통령은 하워드 러트닉 상무부 장관과 무역팀이 협상한 개략적인 합의를 일부 검토했고, 합의가 더 나아져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이 발언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현재까지의 전반적인 합의 진행 상황이 만족스럽지 않다고 판단하는 것으로 보인다.
한편, 브라질에 50%의 고율 관세를 통보한 이유에 대해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자이르 보우소나루 전 브라질 대통령과 관련해 불만이 있기 때문"이라고 정치적 목적임을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과 친분이 있는 보우소나루 전 대통령이 쿠데타 모의 혐의로 재판을 받는 것을 '정치적 박해'라고 주장하고 있다.

김진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