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 "사내 다른 곳에 먼저 썼다" vs 노조 "외부 유출 의심"해당 업체, 택시업체 2곳 등 복수의 계열사 운영임금 체불 반복에 서울시, 인건비 '직접 지급' 검토
-
-
- ▲ 서울 시내버스 한 업체가 직원들에게 임금 지연 지급을 안내한 공고문
서울시가 전액 재정을 지원하는 시내버스 준공영제 사업에서 한 버스회사가 직원 임금 명목으로 받은 예산을 다른 용도로 유용한 사실이 드러났다. 이로인해 해당 회사는 수년간 임금 지급 지연을 반복해왔으며, 서울시는 인건비를 개인에게 직접 지급하는 방식을 검토하고 있다.
문제가 된 회사는 서울 서부 노선 일부를 운영하는 '서울매일버스'다. 이 회사는 2022년 말부터 수차례 급여를 제때 지급하지 않았고 올해 5월에는 연말정산 환급금과 건강보험료까지 체불했다. 이달에도 4대 보험료를 납부하지 못한 상태다.
회사 측은 본지 통화에서 "자금 사정이 여의치 않아 임금 예산이 부족할 수 있다는 걸 알면서도 다른 곳에 먼저 사용한 것은 사실"이라며 "다음 주 중 체납분을 납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서울시 준공영제는 요금 수입과 운송원가의 차액을 시가 전액 보전해주는 구조다. 운송원가는 인건비, 차량 유지비, 유류비 등으로 나뉘어 산정되지만, 실제 지급은 항목 구분 없이 일괄 송금된다.
서울시 관계자는 "문제가 된 업체에 대해서는 현장 점검과 관리감독을 지속해왔다"고 설명했다.
다만 시는 임금 체불이 반복되는 상황을 고려해 향후에는 인건비에 한해서 직원 개인 계좌로 직접 지급하는 방식으로의 전환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준공영제 내부 규정에 따른 조치로 반복 위반 업체에 적용 가능하다.
해당 버스회사 노조는 이번 임금 체불이 단순한 자금 부족이 아니라 회사 외부로 자금이 유출됐기 때문이라는 의혹을 제기했다. 서울시가 운영비와 인건비를 모두 포함해 필요한 예산을 지급하는 구조임에도 불구하고 자금 부족이 반복된다는 점에서 버스회사 외부로 자금이 유출됐을 가능성을 지적한 것이다. 실제로 해당 회사는 대전 지역의 택시업체 2곳 등 복수의 계열사를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회사 측은 "서울시로부터 받은 예산을 다른 사업체로 유출한 사실은 전혀 없다"고 반박했다. 다만, 자금 부족의 원인이나 자금 흐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하지 않았다.

김승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