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선우, 갑질 근절 위해 '태움방지법' 대표 발의"쓰레기 수거·변기 수리…보좌진 집사처럼 부려"5년 내 보좌진 46명 교체…"국회에서 흔치 않아"갑질 의혹에 뿔난 野 보좌진협의회 "사퇴하라"
  • ▲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뉴시스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스쿨존(어린이보호구역) 신호 위반에 이어 이번에는 보좌진을 집사처럼 부렸다는 '갑질' 의혹이 제기돼 논란이 일고 있다. 국민의힘은 "사실이라면 장관 자격이 없다"며 사퇴를 촉구했다.

    10일 한지아 국민의힘 의원실이 국회 사무처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5년간 강 후보자의 보좌진 채용 내역'에 따르면, 강 후보자 의원실은 이 기간 51명의 보좌진을 임용했고, 46명을 면직했다. 국회에선 이를 두고 보좌진 교체가 잦은 편이란 평가가 나왔다.

    다만 국회 사무처는 '개인별 직급 변동 내역 포함'이라는 단서를 달았다. 강 후보자가 재선하면서 기존의 보좌진을 면직하고 같은 인물을 다시 채용하거나 승진 인사가 포함됐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국회의원 보좌진은 통상 4급 보좌관 2명, 5급 선임비서관 2명, 6·7·8·9급 비서관 각 1명 등 총 9명으로 구성된다. 이중 4급 보좌진이 의원의 정무·정책 등 업무 전반에 있어 핵심 역할을 맡는다. 그런 만큼 4급 보좌관의 잦은 교체는 이례적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하지만 자료에 따르면 강 후보자는 처음으로 국회에 입성한 2020년에 보좌진 11명, 2021년에는 5명, 2022년 8명, 2023년 7명을 임용했고, 첫 해에만 4급 보좌관 2명, 5급 선임비서관 1명을 교체했다.

    이듬해에도 4급 보좌관 1명이 다시 교체됐고, 2022년에는 4급 보좌관 2명이 또 교체된 것으로 나타났다. 당시 선임비서관 1명도 교체됐다.

    강 후보자가 재선에 성공한 지난해에는 보좌진 14명을 임용했는데, 같은 해 4급 보좌관 2명이 교체된 것으로 보인다. 올 상반기에도 4급 보좌관 2명이 교체됐는데 같은 직급에는 1명만 자리를 채웠다.

    이러한 가운데 SBS 보도를 통해 강 후보자 보좌진의 '갑질' 의혹이 전해지면서 논란이 확산하고 있다.

    보좌진 A 씨는 '강 후보자가 본인의 집 쓰레기를 버리도록 했다'고 주장했고, 보좌진 B 씨는 변기 수리를 지시받았다고 했다.

    강 후보자의 '갑질' 의혹은 그가 의정활동을 통해 '태움방지법'을 대표 발의하는 등 약자를 위한 갑질 근절에 앞장섰던 행보와 상반돼 '내로남불' 논란이 일고 있다.

    특히 대통령실은 강 후보자를 내정하면서 "사회적 약자의 권익 보장을 위해 활동해 온 정책전문가"라며 "소통과 경청을 바탕으로 우리 사회 갈등 문제 등을 해결해 나갈 것"이라고 평했다. 

    송언석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는 이날 비대위회의에서 "보좌진을 집사처럼 부렸다고 하는데, 이 갑질 의혹이 사실이라면 장관 자격이 없는 것은 당연하고 국회의원 자격도 없다"며 "우리 국민의힘에서 제시한 7대 검증 기준 중의 하나가 갑진 전력인데, 강 후보자는 즉각 의혹에 대해 해명해 보시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박민영 국민의힘 대변인도 논평을 통해 "국회의원이 개인 비서처럼 사적으로 부리는 것은 개인에 대한 인권 유린을 넘어 대표성을 부여해 준 국민에 대한 중대한 배반"이라며 "여가부는 강 후보자와 같은 갑질범으로부터 피해자들을 구제하기 위해 만들어진 특임 부처인데, 갑질 의원이 장관 직을 맡는다는 게 언감생심 가당키나 한 것이냐"고 직격했다.

    국민의힘 보좌진협의회도 이날 논평을 내고 "국민 앞에 사과하고 스스로 사퇴하는 것이 답"이라고 했다.

    이들은 "유독 강 후보자의 의원실만 교체가 잦았던 이유가 강 후보자의 갑질과 무리한 사적 지시 때문은 아니었는지 의심스러운 대목"이라며 "앞으로는 '갑질 근절'과 '약자 보호'를 외치면서 뒤로는 자신의 직원을 '집사'처럼 부려먹은 '양두구육'의 행태에 국민은 분노할 수밖에 없다"고 비판했다.

    개혁신당도 "즉각 자진 사퇴하라"는 목소리가 나왔다. 김영임 개혁신당 대변인은 논평을 통해 "드러난 실체는 '공적 권한의 사적 남용자'"라며 "내로남불 끝판왕"이라고 했다.

    김 대변인은 또 강 후보자의 이른바 '스쿨존 내로남불'도 지적했다. 김 대변인은 "본인이 대표발의한 '스쿨존(어린이보호구역) 신호위반가중처벌법'을 정작 본인이 위반했다"며 "입법을 정치 퍼포먼스로만 여긴다는 방증"이라고 직격했다.

    이어 "강 후보자는 국민에게 '약자 보호'를 말하면서 정작 본인은 약자를 함부로 대하는 사람"이라며 "이것이 이재명 정부가 말하는 '정의'인가. 국민을 우습게 보지 말라"고 덧붙였다.
손혜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