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원들의 '朴 지지 선언'에 정청래 '당심' 호소"당심 반반 … 전대 '초접전' 레이스 펼쳐질 것"
-
-
- ▲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의원(왼쪽)과 박찬대 의원.ⓒ이종현 기자
더불어민주당 대표 자리를 두고 경쟁하는 정청래·박찬대 의원이 당의 핵심 표밭인 '호남' 공략에 나선 가운데, 당내 지지세는 박 의원을 향해 쏠리는 분위기다. 당 안팎에선 이번 8·2 전당대회가 '초접전' 양상으로 전개될 것이라는 관측마저 나오고 있다.
8일 정치권에 따르면 민주당에서는 전당대회를 한 달여 앞두고 정청래·박찬대 후보에 대한 당 소속 의원들의 공개 지지 선언이 잇따르고 있다.
대선 직후 정 의원이 먼저 당권 도전을 선언했을 때만 해도 장경태·최기상·양문석 의원 등이 현충원 방문에 동행했고, 최민희 의원이 당 지지층에서 비롯된 비판을 맞서 정 의원을 옹호했다.
하지만 최근 당권 경쟁이 달아오를수록 당내에서는 박 의원에 대한 공개 지지 선언이 속속 이어지고 있다.
박 의원이 선거 출마를 공식 선언했을 땐 김문수·정진욱 의원 등 '더민주혁신회의' 핵심 멤버들이 박 의원의 곁을 지켰다. 김용민·박성준·노종면 의원 등 직전 '박찬대 원내지도부'와 김교흥·맹성규·유동수·정일영·박선원·이훈기 등 박 의원과 같은 인천 지역구 의원, 박 의원과 가까운 황명선 의원 등이 함께 자리했다.
오는 9일 최고위원 선거 출마를 공식 선언할 예정인 황 의원은 박 의원과 '러닝메이트'로 함께 뛸 것으로 예상된다.
이정헌·박정 의원도 페이스북에 공개적으로 '박찬대 지지 선언' 글을 올렸다.
민주당 의원들의 지지세가 박 의원에게 쏠리자 정 의원은 최근 페이스북에 "당권 주권 시대를 열겠다"면서 당심 호소에 주력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번 전당대회 당대표 선거인단 반영 비율이 대의원 15%·권리당원 55%·일반 국민 30%인 만큼, '당심'을 집중적으로 공략하겠다는 전략으로 읽힌다.
정 의원은 최근 페이스북에 "국회의원은 당원을 이길 수 없다" "당원은 영원하다" "국회의원 기득권과 당원 주권이 싸우면 끝내 당원이 이긴다"는 등의 글을 잇따라 올렸다. 일각에선 상대 후보를 지지하는 의원들을 '기득권'이라고 저격한 것이 아니냐는 지적도 나왔다.
장경태 의원도 정 의원이 당권 표심에 유리하다는 해석에 힘을 실었다. 장 의원은 지난 2일 MBC 라디오 '권순표의 뉴스 하이킥'에 출연해 "박 의원이 의심(의원들 마음)에선 박빙 우세, 당심에선 열세"라고 말했다.
한국갤럽의 '민주당 대표 경선 후보 선호도' 여론조사에서도 정 의원을 지지한다는 응답은 32%, 박 의원은 28%로 나타나 접전 양상이 보였다. 민주당 지지층에선 정 의원이 47%, 박 의원이 38%로 집계돼 '의심은 박찬대, 당심은 정청래'라는 구도가 나타났다.
하지만 일각에선 당원 지지세를 기준으로 우열을 가리기 어렵다는 평도 나온다. 이재명 대통령의 강성 지지층인 '개딸'(개혁의딸)은 박 의원을, 방송인 김어준 씨 지지층은 정 의원을 지지하는 흐름이 나타나면서 당심이 반으로 나뉘고 있다는 것이다.
최근 들어 민주당 지지층은 점차 이 대통령의 강성 지지층과 과거 '친문'(친문재인) 정서가 두드러졌던 김 씨를 중심으로 형성된 이른바 '김어준계' 지지층으로 분화되는 흐름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이 대통령의 강성 지지층은 "깃털 같은 가벼움과 처신" "자기 정치" 등 정 의원에 대한 원색적인 거부감마저 드러내고 있다.
이에 대해 민주당 관계자는 "이번 선거는 '대세론' 없이 접전을 벌이는 레이스가 펼쳐질 것으로 예상한다"며 "당심이 정 의원에게 절대적으로 유리하지도 않고, 아직 겉으로 두드러지지 않아도 당에서 오랫동안 활동한 정 의원에게 동지애가 깊은 의원들도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이재명 정부 들어 첫 여당 대표를 선출하는 선거인 만큼, 이재명 대통령과의 합(合)이 표심을 가르는 기준이 될 것이란 게 당의 중론이다.
또 다른 당 관계자는 "이 대통령과 호흡을 맞추면서 안정적으로 당을 운영할 것이라면 박 의원을, 강성으로 당을 끌어가길 원한다면 정 의원을 지지하는 성향이 나타날 것"이라며 "의원들이 판을 읽고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기사에 인용한 한국갤럽 여론조사는 지난 1~3일 무선 100% 전화면접 방식으로 진행됐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고하면 된다.

손혜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