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H·국고 지원 늘려 지방 주거 환경 개선해야"도지사 시절 '무한돌봄' 도입 … 한센인 마을도 찾아
-
-
- ▲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20일 서울 강서구 남부골목시장 입구에 마련된 유세차량에 올라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 ⓒ이종현 기자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20일 쪽방촌을 찾아 주거 환경 개선 방안을 논의하고 주민에게 명함을 건네며 '약자 동행' 행보를 이어갔다. 경기도지사 시절 무한돌봄사업 등을 도입했던 김 후보는 한국토지주택공사(LH)나 국고 지원 확대를 통해 주거 여건을 개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후보는 이날 오후 서울 영등포구 쪽방촌 상담소를 방문해 "이곳에는 수백 세대의 쪽방 주민이 있는데 LH와 서울주택도시공사(SH)가 각각 55%, 45%의 자금을 마련해 임대주택을 조성했다"며 "시설이 개선돼 최소한의 생활 조건을 갖추게 된 점이 기쁘다"고 밝혔다.
아울러 "서울의 경우 SH는 자금 여력이 있지만 지방은 그렇지 않다"며 "LH가 부담을 더한다든지 국고 지원 등을 통해 지방 주거가 개선돼야 한다"고 말했다.
또 "이곳은 우리 사회의 사각지대"라며 "방 안에 들어가 주민들과 교류해 온 만큼 지나다니며 느끼는 어려움이 많다"고 덧붙였다.
경기도지사 시절 위기 가정 지원 사업인 '무한돌봄'을 도입한 김 후보는 한부모 가정 등 복지 사각지대에 놓인 가정을 직접 찾아온 바 있다. 도지사 재임 시기뿐 아니라 이후에도 경기도 포천의 한센인 마을인 장자마을을 여러 차례 방문한 것으로도 전해졌다. 전날에는 오세훈 서울시장이 주재한 '약자와 동행하는 서울 토론회'에 참석해 관련 행보를 이어갔다.
김 후보는 "숙명여대 근처와 용산구 청파동 등을 보면 보통 낙후된 지역이 아니"라며 "그러나 토지·건축법상 문제 등으로 복잡한 상황이다. 많은 관심을 가져달라"고 당부했다.
상담소를 나온 김 후보는 쪽방촌 골목을 돌며 주민들과 직접 대화를 나누고 주거 환경을 살폈다.
그는 한 주민에게 "월세는 얼마인가", "생계비 수급자인가" 등을 물었고 월세로 50만 원을 낸다는 답에 "50만 원 내면 남는 게 없지 않느냐"고 말했다.
김 후보는 대화 말미 자신의 전화번호가 적힌 명함을 건네며 "언제든지 전화하라"고 전하기도 했다.

박서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