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관, 직원 등 3명 골절 등 부상 피해12시간째 진화 난항 … 국가소방동원령 발령주민들 긴급대피 … 잿가루로 2차피해까지 생고무 20t 불길 … 완전 진화에 수일 걸릴 듯타이어 생산 차질 우려 … 지역 경제도 비상
  • ▲ 금호타이어 광주공장에 대형 화재가 발생해 국가소방동원령이 발령된 17일 오후 광주 광산구 화재현장에 소방헬기가 투입되고 있다. 소방청은 오전 10시 국가 소방동원령을 발동하고 광주 전체 소방서 인력과 소방헬기 11대를 투입했다. ⓒ광주=서성진 기자

    17일 오전 7시 11분쯤 광주 광산구 소촌동 금호타이어 광주공장에서 화재가 발생해 12시간 넘게 지속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인근 주민들이 긴급 대피했지만 차량과 아파트 등에 고무 잿가루가 내려앉아 2차 피해까지 발생하고 있다.

    광주소방본부는 화재 직후 대응 단계를 1단계에서 2단계로 상향했다. 그러나 불길이 계속 커지자 소방청은 오전 10시 국가소방동원령을 발령해 전국 소방력을 동원했다. 현재 헬기를 포함한 장비 100여 대와 소방 인력 350여 명이 투입돼 진화 작업 중이다.
    ▲ 금호타이어 광주공장에 대형 화재가 발생해 국가소방동원령이 발령된 17일 오후 광주 광산구 화재현장에 소방헬기가 투입되고 있다. 소방청은 오전 10시 국가 소방동원령을 발동하고 광주 전체 소방서 인력과 소방헬기 11대를 투입했다. ⓒ광주=서성진 기자

    화재는 타이어 원자재로 사용되는 생고무 20t과 화학물질이 보관된 시설에서 발생했으며, 건물 붕괴와 함께 옆 건물로 번지며 진화가 더욱 어려워지고 있다. 특히 생고무가 완전히 연소될 때까지 화재가 계속될 가능성이 커 완전 진화까지 수일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화재로 발생한 검은 연기와 고무 잿가루로 인해 주민들의 2차 피해가 커지고 있다. 연기 탓에 창문을 열 수 없고 실내에서도 두통과 호흡곤란을 겪는 주민들이 늘고 있으며, 차량과 빨래에 고무 잿가루가 달라붙어 재산상 피해까지 발생하고 있다. 광산구는 피해를 줄이기 위해 공장 인근 아파트 주민들에게 마스크 1만 5000개를 긴급 배포했다.
    ▲ 금호타이어 광주공장에 대형 화재가 발생해 국가소방동원령이 발령된 17일 오후 광주 광산구 화재현장에서 피어오르는 연기가 아파트를 덮치고 있다. 광주시와 광주 광산구는 이날 오후 6시부터 대피민을 위해 광주여자대학교 체육관에 400세대를 수용할 수 있는 대피소를 설치했다. 1차 대피 대상자는 확산 중인 검은 연기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인접 4개 아파트단지의 입주민들이다. ⓒ광주=서성진 기자

    이에 광산구는 인근 아파트 600여 세대를 위한 긴급 대피소를 마련했다. 광주여대 체육관에 텐트와 식음료를 제공하고 있으며, 주민들은 오후 6시부터 버스를 이용해 대피소로 이동 중이다. 특히 고령 주민들이 많아 자원봉사자들이 대피를 돕고 있다.



    금호타이어 광주공장은 연간 1200만 개의 타이어를 생산하며, 회사 전체 생산량의 약 45%를 차지하는 핵심 시설이다. 특히 현대자동차의 캐스퍼 모델을 생산하는 광주글로벌모터스(GGM)에 타이어를 공급하고 있어 이번 화재로 인한 지역 경제의 피해가 클 것으로 우려된다.

    금호타이어 측은 공장이 정상화되는 데 수개월이 걸릴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따라 올해 목표로 했던 매출 달성에도 차질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한편 광주시는 오염수 유출 방지 시설 설치 등 환경 피해 최소화에 나섰으며, 환경 당국 및 민간단체와 협력해 수질·대기오염 관리를 더욱 강화할 방침이다.
조문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