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호 개방' 일환 복당 신청 전격 수용'선거법 1심 유죄' 장예찬 복당 향한 비판도당원·수영구민, 복당 철회·지도부 사과 촉구
-
-
- ▲ 장예찬 전 국민의힘 최고위원이 지난 총선 당시 탈당 후 부산 수영 지역구의 무소속 후보로 출마에 나선 모습. ⓒ뉴데일리 DB
국민의힘이 장예찬 전 최고위원과 최경환 전 경제부총리의 복당을 공식 의결했다. 대선에 앞서 우파 진영 통합을 위한 '문호 개방' 기조의 일환이라는 설명이다. 그러나 유죄 판결 전력이 있는 인사의 복당을 두고 당 안팎의 반발도 적지 않다.
15일 국민의힘 관계자에 따르면 국민의힘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비공개 비상대책위원회 회의에서 장 전 최고위원과 최 전 부총리의 복당을 의결했음을 밝혔다. 당내 대선 후보 중심의 통합 상징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전임 지도부에서 이미 복당에 대한 내부 공감대가 형성돼 있었고 현 지도부도 이를 수용했다고 한다.
앞서 권영세 전 비상대책위원장은 "당의 문을 활짝 열겠다. 과거에 연연하지 않겠다"며 탈당 인사들에 대한 복당 수용 가능성을 언급한 바 있다. 이에 장예찬 전 최고위원은 지난달 24일 국민의힘 부산시당에 복당계를 제출했다.
장 전 최고위원은 지난해 4월 총선을 앞두고 막말 논란으로 공천이 취소된 뒤 "총선에서 승리해 복당하겠다"는 입장을 밝히며 탈당, 부산 수영구에 무소속 출마했으나 낙선했다.
최경환 전 부총리는 대표적인 친박(박근혜)계 인사로, 지난해 총선에서 경북 경산에 무소속으로 출마했으나 고배를 마셨다. 최근에는 대권 도전을 선언했다가 불출마를 결정하면서 "국민의힘 최종 후보를 도와 대선 승리에 힘을 보태겠다"고 밝혔다.
국민의힘은 향후에도 보수 통합 기조에 따라 추가적인 복당 인사들을 단계적으로 수용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벌써부터 장 전 최고위원의 복당을 둘러싼 반발이 터져 나오고 있다. 학력 허위 공표, 여론조사 결과 왜곡 홍보물 발송 등으로 인한 공직선거법상 허위 사실 공표 혐의로 1심 유죄 판결을 받은 장 전 최고위원의 전력 때문이다.
복당 결정 직후 당원 게시판에는 "선거법 유죄 받은 인사를 복당시켜놓고 무슨 자격으로 이재명을 비판하느냐" "친한계 비판하다 복당한 인물을 누가 돕겠는가" "반명 빅텐트가 아니라 친윤 빅텐트"라는 성토가 이어지고 있다.
특히 장 전 최고위원과 같은 지역구(수영구)에서 경쟁했던 정연욱 국민의힘 의원은 장 최고위원의 복당 신청 당시 공개 반발한 바 있다.
정 의원은 지난달 25일 기자회견을 열고 "장 전 최고위원은 지난해 총선 때 앞에선 '선당후사'를 외치고는 탈당 후 '대통령 1호 참모팔이'로 당 분열을 부추겼다"며 "그런데도 권영세 비대위원장과 부산시당위원장이 '장예찬 살리기' 꼼수로 복당의 문을 열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어 "비대위는 어떤 명분도 없는 장예찬의 복당 논의를 즉각 중단하라"고 요구했다. 비록 복당이 의결된 현재 시점에서는 입장을 내지 않고 있으나 지역 내 갈등은 여전히 진행 중인 것으로 풀이된다.
한편, 수영구민은 이날 오후 부산시의회 브리핑룸에서 복당 철회와 지도부 사과를 요구하는 긴급 기자회견을 예고했다.
당협 관계자는 "지도부가 지역 민심을 무시한 채 유죄 판결 받은 인사를 일방적으로 복당시켰다"며 "당의 명예를 훼손하고 대선을 어렵게 만드는 결정"이라고 성토했다. 기자회견에는 50여 명의 당원이 참석할 예정이다.

정경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