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명진 전 의원, 권영세-권성동 '쌍권'에 책임론"비대위원장 사퇴만으로 안돼…즉각 징계 내려야"'친한계' 국힘 16인도 '쌍권' 동반 사태 촉구 성명
  • ▲ 김문수 국민의힘 대통령선거 후보(가운데)가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서 권영세 비대위원장(좌), 권성동 원내대표로부터 꽃다발을 받고 있다. 250509 사진=이종현 기자. ⓒ뉴데일리

    김문수 국민의힘 대통령 후보가 당원 투표 부결에 따라 대선 후보 자격을 회복한 가운데 김 후보의 측근들이 '징계' 등을 언급하면서 후폭풍이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김 후보의 오랜 측근인 차명진 전 의원은 11일 초유의 후보교체를 시도했던 지도부를 향해 강한 책임론을 제기했다.

    그는 '후보교체' 당원 투표 부결 이후 물러난 권영세 전 비상대책위원장을 향해 "비대위원장 사퇴만으로는 안 된다. 즉각 당원권 정지 3년(의 징계를 내려야 한다)"이라고 말했다.

    이어 "권 비대위원장만 갖고는 안 된다. 권성동 (원내대표) 너도 당원권 정지 3년"이라며 "이양수 (사무총장), 한덕수 후보 옹립 음모를 실제로 수행했다. 너도 당원권 정지 3년"이라고 날을 세웠다.

    김 후보는 또 김문수 캠프에 합류하며 '단일화'를 주장했던 박수영 의원을 향해서도 "뭐라고 했더라? 김문수가 나이 70 넘어 정신이 오락가락하고 있다고? 좌파 침투 작전으로 대선 후보가 됐다고?"라며 "너도 당원권 정지 3년"이라고 일갈했다.

    그러면서 "너는 왔다 갔다 한 게 문제가 아니라, 등에 칼 꽂은 게 문제"라며 "그것도 김문수 후보 7년 모셨다는 친구가..."라고 썼다.

    친한계가 주축인 국민의힘 의원 16인도 "권성동 원내지도부의 동반 사퇴를 촉구한다"고 밝혔다.

    조경태·송석준·김성원·서범수·박정하·김형동·배현진·고동진·김예지·정연욱·안상훈·박정훈·정성국·한지아·진종오·우재준 의원은 성명서를 통해 "권영세 비대위원장의 사퇴만으로는 그 책임을 다하기 어렵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들은 "지난 새벽 임시기구인 비대위가 당 대선 후보를 일방 교체한 것은 절차적 하자가 분명한 잘못된 결정"이라며 "당원들의 반대로 비대위의 후보교체 결정이 부결된 것은 우리 당의 상식이 살아 있다는 걸 보여준 의미 있는 결론"이라고 평가했다.

    이어 "비대위는 무리한 결정으로 당원과 지지자에게 큰 실망과 상처를 줬고, 무엇보다 대선에 큰 악재를 만들었다"며 "이 책임은 어떤 변명으로도 용납되기 힘들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권영세 비대위원장만의 사퇴만으로는 그 책임을 다하기 어렵다"며 "이번 사태에 깊이 관여해 온 권성동 원내지도부의 동반 사퇴를 촉구한다. 대선까지 원내 일정도 거의 없기 때문에 동반사퇴의 후유증도 크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이런 조치들을 통해 엉망이 된 당내 민주적 질서를 회복하고, 24일 앞으로 다가온 대선에서 승리할 수 있는 발판을 재건하길 강력히 촉구한다"고 했다.

    한편 국민의힘 지도부는 전날 밤 비상대책위원회 회의를 소집한 뒤 김 후보를 한덕수 전 국무총리로 교체하는 전(全) 당원 투표 결과, '반대' 의견이 찬성보다 많아 부결됐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이날 새벽 비대위가 '기습' 결정했던 김 후보 선출 취소(오전 2시30분), 새 후보 등록 신청(오전 3~4시) 등 후보교체 절차는 전면 중단됐다.

    '대선 후보교체' 전 당원 투표가 부결된 것은 모두의 예상을 뒤엎은 것이었다. 김 후보 측과 한 전 총리 측 모두 이러한 결과를 예상하지 못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김 후보는 입장문에서 "이제 모든 것은 제자리로 돌아갈 것"이라며 "즉시 선대위를 출범시키고 빅텐트를 세워 반(反)이재명 전선을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함께 경선에 참여했던 한동훈 후보님, 홍준표 후보님, 안철수 후보님, 나경원 후보님, 양향자 후보님 모두 감사드린다. 후보님들과 함께 대선을 승리로 이끌겠다. 한덕수 후보님께서도 끝까지 당에 남아 이번 대선에서 함께 해 주시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성재용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