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텐트 범우파로 넓히면 '이재명 흔들기' 가능'이재명 사법리스크', 판세 흔들 변수 작용 전망
-
-
-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지난달 29일 오전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법에서 열린 '대장동 배임·성남FC 뇌물' 1심 속행 공판에 출석하고 있다. ⓒ서성진 기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각종 여론조사에서 우위를 점하며 유리한 구도를 형성하고 있는 가운데, 범우파 빅텐트 불씨를 살리면 이 후보 '1강'을 흔들 수 있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8일 나왔다. 이 후보의 사법리스크로 인한 부정적 여론도 팽팽히 맞서는 만큼 범우파 단일화 성사 여부에 귀추가 주목된다.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가 지난 5∼7일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전국지표조사(NBS) 결과에 따르면, 차기 대통령으로 가장 적합한 인물이 '이재명'이라는 응답이 43%로 가장 높았다.
이어 한덕수 무소속 예비후보 23%,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 12%, 이준석 개혁신당 대선 후보가 5%로 집계됐다.
이재명·한덕수·이준석 후보의 3자 대결 구도로 가정하면 이재명 후보 44%, 한덕수 후보 34%, 이준석 후보 6%로 나타났다.
이재명·김문수·이준석 후보가 붙으면 이재명 후보가 43%로 가장 높고, 김문수 후보 29%, 이준석 후보 7%로 조사됐다.
본선에서 어떤 구도를 형성하든 이재명 후보가 우위를 점하지만, 범우파로 범위를 넓혀 한덕수 후보 또는 김문수 후보가 우파 진영의 최종 후보로 낙점돼 다른 후보의 지지율을 흡수하면 승산이 없는 것은 아니다.
대선 본선까지 한 달도 남지 않은 상황에서 국민의힘이 단일화에 사활을 거는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이다. 우파 진영 후보가 독자 노선을 걷게 되면 표 분산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고, 이는 필패 혹은 완패로 귀결되기 때문이다.
여기에 완전히 해소되지 않은 이재명 후보의 사법리스크도 대선 표심을 가를 변수로 작용할 수도 있다.
리서치앤리서치가 동아일보 의뢰로 지난 4~5일 전국 18세 이상 성인 남녀 1013명을 대상으로 이재명 후보가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 파기환송심에서 유죄 판결을 받을 경우 '대선에 출마하지 말아야 한다'는 의견이 48.1%로 집계됐다. '대선에 출마해야 한다'는 의견은 49.8%로 팽팽했다.
즉, 이재명 후보의 사법리스크에 대한 우려가 사그라들지 않고 있는 것이다. 이에 이재명 후보가 유죄 판결이 나지 않은 상황에서 대통령에 당선되더라도 남은 재판을 계속 받아야 한다는 응답이 과반을 기록했다.
구체적으로 계속 재판을 받아야 한다는 응답이 53.1%로 집계됐고, '받지 말아야 한다'는 응답(44.2%)은 오차범위 밖인 8.9%포인트 차를 보였다.
국민의힘은 이재명 후보의 사법리스크와 도덕성 논란을 파고들며 범우파 빅텐트로 승기를 다져 나가겠다는 심산이다. 이에 대선 후보 등록 마감일(11일) 전까지 김문수 후보와 한덕수 후보의 단일화를 위해 줄다리기를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8일 열린 의원총회에서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저는 김 후보와 싸우려고 하는 것이 아니라 간곡히 간곡히 대통합의 결단을 내려 달라고 간청하는 것"이라며 "당원과 지지하는 국민들의 간절한 열망에 호응해주길 바란다"고 호소했다. 이어 "부디 두 분께서 밤을 새서라도 합의안을 도출해 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한편, 기사에 인용된 NBS 조사는 휴대전화 가상번호(100%)를 이용한 전화 면접으로 이뤄졌고, 표본 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다. 응답률은 22.1%다.
리서치앤리서치 여론조사는 전화면접(100%) 방식으로 무선 RDD를 표본으로 실시했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 응답률은 10.0%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김희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