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문수 56.53% … 한동훈 43.47%"기득권 정당 아닌 국민 정당으로 거듭날 것"우파 결집·이재명 범죄자 프레임으로 승부'한덕수 단일화'가 관건 … "손 잡고 가겠다"
-
-
- ▲ 국민의힘 대선 후보로 선출된 김문수 후보와 당 지도부 및 경선 후보들이 3일 오후 경기 고양시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국민이힘 제21대 대통령선거 후보자 선출을 위한 전당대회에서 함께 인사하고 있다. ⓒ경기 고양=이종현 기자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이 제21대 대통령 선거 국민의힘 후보로 확정됐다. 오는 6월 3일 치러지는 대선이 한 달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국민의힘은 우파 진영 대결집으로 정권을 재창출하고, 대법원에서 유죄가 확정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의 집권을 막아야 하는 과제를 안게 됐다.
국민의힘은 3일 경기도 고양시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전당대회에서 김 전 장관이 대선 후보로 선출됐다. 이번 결선에서 적용된 당원 투표 50%, 국민여론조사 50%를 합산한 결과 김 후보가 56.53%를 획득했다. 한동훈 후보는 43.47%로 고배를 마셨다.
김 후보는 대선 후보 수락 연설에서 "우리 모두 혹독한 겨울을 보냈다. 좌절과 분노를 뚫고 오늘 이 자리에 모였다"며 "수많은 국민의 함성에도 대통령은 탄핵당했다. 우리의 민주주의가 위기를 맞고 있다. 기필코 이번 대선에서 승리하겠다는 각오로 오늘 우리는 모였다"고 밝혔다.
김 후보는 "국민의힘이 대선에서 승리하려면 환골탈태해야 한다. 최대한 신속하게 당을 혁신하겠다. 후보와 당이 하나가 될 수 있도록 빠르게 당 조직을 정비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국민의힘은 기득권 정당이 아니라 국민의 정당으로 거듭나야 한다"고 말했다.
김 후보는 대선 후보 선출 이후 '통합과 포용'을 강조하며 우파 진영을 통합하겠다고 했다. 이에 대선 출마를 선언한 한덕수 전 국무총리와의 단일화를 통한 빅텐트 구성 가능성이 우파 진영 최대 화두로 떠올랐다.
국민의힘 당원과 지지층 사이에서 단일화를 포함한 정치 연대를 통해 이 후보를 상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 만큼 한 전 총리와 연대를 통한 빅텐트 구축이 대선 본선 돌입 전에 이뤄져야 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됐다.
이에 김 후보는 대선 경선 과정에서 제일 먼저 '김덕수'(김문수+한덕수)를 자처하며 표심 확보에 나섰다. 김 후보는 경선 과정에서 콘클라베(무기한 담판), 2002년 제16대 대선 당시 노무현-정몽준식 단일화 모델 등을 거론하며 당심을 확보, 대선 후보로 선출되는데 유효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김 후보는 이날 대선 후보 수락 연설을 마치고 기자들을 만나 "이재명 후보가 대통령이 돼선 안 된다고 생각하는 많은 분과 손을 잡고 같이 나가겠다"면서 후보 선출 뒤 한 전 총리와 통화했다고 밝혔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대통령 후보 등록 마감일인 오는 11일 전까지 단일화 방침에 관심이 쏠린다. 국민의힘 지도부는 선거공보물 발주 일정 등을 고려해 대선 후보 등록일 전까지 후보 단일화를 마무리한다는 방침이다.-
- ▲ 국민의힘 대선 후보로 선출된 김문수 후보가 3일 오후 경기 고양시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국민이힘 제21대 대통령선거 후보자 선출을 위한 전당대회에서 수락연설을 중 부인 설난영 여사와 함께 인사하고 있다. ⓒ경기 고양=이종현 기자
김 후보는 민주당의 입법 독주에 맞설 적임자라고 강조했다. 대법원이 지난 1일 이 후보의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에 대해 유죄 취지로 파기환송 하자 민주당은 최상목 전 경제부총리 탄핵안 발의와 대통령의 불소추특권을 입법적으로 강화하는 '재판 중지법' 추진 등에 나섰다.
김 후보는 이를 두고 "국회가 대통령을 끌어내고 법원과 헌법재판소까지 지배하며 삼권분립을 파괴하고 있다"며 "이 사람들이 정권을 잡는다면 끔찍한 독재가 펼쳐질 것"이라고 지적했다.
김 후보는 민주당 대선 경선에서 89.77%의 득표율을 획득한 이 후보를 '독재자'라고 규정하며 민주당이 발의한 공직자 31명의 탄핵소추안, 정부 예산안 삭감, 방탄 국회, 입법 독재, 대통령 탄핵, 사법부 협박 등을 거론했다.
김 후보는 국회 다수 의석을 차지한 민주당이 행정부 수반까지 확보하면 폭주를 제어할 수 없다는 논리를 부각했다. 김 후보는 '반명 빅텐트' 구성을 강조한 만큼 이 후보와 민주당의 입법 폭주를 연결고리로 이준석 개혁신당 대선 후보 등 제3지대 인사들과 단일화 논의에도 열려있다는 입장이다.
전문가들은 이날 국민의힘 대선 후보로 선출된 김 후보에 대해 반탄 이미지로 인한 확장성 부족을 지적하며 단일화가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당 경선 과정에서 찬탄, 반탄 구도로 나뉘어 경쟁이 심화된 만큼 김 후보가 빠르게 통합 행보에 나서야 한다는 것이다.
이 후보와 경선 전망에 대해서는 민주당의 줄탄핵 등으로 인한 행정부 마비를 초래했다는 점과 동시에 후보 본인이 가진 정책을 부각해야 한다고 분석했다.
신율 명지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이날 뉴데일리와에 "김 후보는 탄핵 반대 이미지가 공고하기에 민주당의 '내란 프레임'이 공고화될 수 있다"며 "김 후보도 탄핵에 대한 입장을 정리하고 윤 전 대통령과 관계를 새롭게 정립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이 후보에 대한 대법원 판결이 나온 이후 민주당이 최상목 전 부총리를 탄핵하는 등의 모습을 보며 국민의 반발이 더 커졌을 것"이라고 말했다.
황태순 정치평론가는 "한 전 총리와 어떻게든 손을 잡고 덩치를 키워가느냐가 과제"라며 "당내 경선에서 찬탄 대 반탄 구도로 인해 감정의 골이 패어 있는 상황에서 모두 함께할 수 있도록 포용하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비상계엄 선포로 인해 대통령이 탄핵으로 정치적 책임을 진 상황에서 윤석열 정부 집권 동안 민주당의 '행정부 발목 잡기'에 대한 책임을 묻지 않았다"며 "국민의힘은 행정부 마비에 대한 원인을 부각하면서 김 후보 본인은 국가를 위한 비전을 얘기하는 투 트랙 전략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경기 고양=배정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