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경선 진행되며 여론조사 구도 미세 변화李 독주 흔들리나 … 각종 여조서 격차 축소"우파 단일화 땐 판세 요동 … 박빙 양상 될 것"이재명 상고심 최대 변수, 파기환송 시 판세 급변 무죄되더라도 사법부 신뢰 문제 생겨, 보수층 급속 결집
  • ▲ 김문수·한동훈 후보가 지난 29일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당사에서 열린 제21대 대통령 후보자 국민의힘 3차 경선 진출자 발표 행사에서 3차 경선 진출을 확정한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이종현 기자

    제21대 대통령선거 후보를 가리기 위한 국민의힘 당내 경선에서 김문수·한동훈(가나다 순) 후보가 결승행을 확정지으면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와의 '1대1 본선 대결' 구도가 조금씩 윤곽을 드러내고 있다. 

    그간 여론조사에서 이재명 후보가 국민의힘 후보와 양자 대결에서 비교적 큰 격차로 앞섰지만 정치권 안팎에서는 "본선 구도가 명확해지면 순식간에 판세가 요동칠 수 있다"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실제 최근 일부 조사에선 우파 진영 후보와 이 대표 간 격차가 한 자릿수로 좁혀진 결과도 나오면서 '박빙 시나리오'가 부상하고 있다. 

    여기에 대법원이 이재명 후보의 공직선거법 상고심을 5월1일 전격적으로 선고하기로 하면서 결과에 따라 이번 대선은 한치 앞을 모르는 구도로 빠져들 수 있다.   

    29일 정치권에 따르면 최근 일부 여론조사에서 우파 진영 후보와 이재명 후보 간 격차가 약 13%포인트에서 8%포인트대로 좁혀진다는 결과가 나왔다. 이는 그간 더블스코어에 가까웠던 격차에 비해 상당히 줄어든 수치다.

    여론조사공정이 펜앤마이크 의뢰를 받아 지난 26~27일 전국 만18세 이상 남녀 2306명을 대상으로 가상 3자 대결 여론조사를 진행한 결과 이재명 후보, 한덕수 국무총리 겸 대통령 권한대행,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가 각각 46.5%, 38.1%, 7.8%의 지지를 받았다. 이재명 후보와 한 대행의 지지율 차이는 8.4%포인트다. 

    한 대행이 아닌 김문수 후보가 진출했다고 가정했을 경우 이재명 후보 46.5%, 김문수 후보 33.2%, 이준석 후보 9.3%로 집계됐다. 이재명 후보와 김 후보의 차이는 13.3%포인트로 나타났다.

    한동훈 후보가 진출했다고 가정한다면 이재명 후보 47.1%, 한동훈 후보 26.1%, 이준석 후보 9.8%로 조사됐다. 이재명 후보와 한 후보 간 격차는 21.0%포인트다. 

    이렇다 보니 우파 진영 후보와 이재명 후보 간 1대1 본선 구도가 명확해지면 5~10%포인트 안팎 '박빙 접전' 양상이 전개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다자 구도에서 분산됐던 우파 진영의 표심이 본선 국면에서 결집돼 시너지가 더욱 극대화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국민의힘의 한 핵심 관계자는 "지금은 완전히 기울어진 운동장 같지만 막상 단일 후보로 좁혀지면 이재명 후보와 충분히 겨뤄볼 수 있다"며 "역대 가장 근소한 차이에서 승패가 갈릴 수 있다"고 전망했다. 

    김형준 배제대 석좌교수도 지난 27일 KBS '일요진단 라이브'에 출연해 "이재명 대세론이 유지되느냐 유지되지 않느냐가 앞으로 본선에서 핵심적인 사항이라고 볼 수 있다"며 "그동안 한국 데이터를 가지고 분석을 해보면 결국 40%는 진보, 40%는 보수, 20%가 중도"라고 설명했다.

    이어 "현재 드러난 상황만 보고 무조건 '(이재명) 일강이다, 대세론이다' 이야기하기는 섣부르다"며 "만약 범우파 단일화를 통한 '반(反) 이재명 빅텐트'가 이뤄지면 48 대 52 구도로 갈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그러면서 "누가 48이고 누가 52일지는 모르겠지만 그 정도로 완전히 대한민국이 진영에 의해 나눠진 것"이라며 "양 진영 후보가 확정되면 지금보단 훨씬 다른 양상이 펼쳐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러한 시나리오의 최대 변수는 이재명 후보에 대한 대법원 판결이다. 대법원은 오는 5월 1일 오후 3시 이 후보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에 대해 선고할 예정이다. 

    결과에 따라 본선 구도는 물론, 야권의 전략에도 큰 영향을 줄 수 있다. 만약 파기환송하면 당장 대선에 출마하는 데 지장이 없지만 '사법리스크'로 인한 정치적 부담은 커질 수밖에 없다. 

    특히 이재명 후보는 40% 안팎의 콘크리트 지지층을 보유하고 있지만 중도 확장에 한계를 겪고 있어 치명상이 불가피하다. 공정을 중시하는 2030과 중도층의 특성상 사법리스크를 안고 있는 이재명 후보보단 '반 이재명 연대'에 힘을 실어줄 가능성이 높다는 게 전문가들의 관측이다. 

    서초동의 한 변호사는 "만약 무죄가 아닌 파기환송이 된다면 당장 대선후보로는 나설 수 있겠지만 정치적 치명상을 입을 것"이라며 "좌파 진영이 크게 흔들려 이번 대선이 5~10%포인트 안팎의 박빙 양상으로 전개될 수 있다고 본다"고 내다봤다.  

    대법원이 2심을 받아들여 무죄를 선고한다고 해도 이 후보에게 마냥 유리한 것은 아니다. 보수층은 물론 중도층에서도 2심 결과에 대해 의아해온 상황. 평범한 사람의 눈에도 "김문기를 몰랐다" 등의 이 후보 발언에 대해 무죄를 선고한 것을 납득하기는 쉽지 않다. 이런 상황에서 무죄를 확정할 경우 보수층 결집이 이뤄지고, 중도층에서도 사법부에 대한 신뢰 문제가 생기면서 대선 판세도 예상 외의 상황으로 흐를 수 있다. 

    한편, 기사에 인용된 여론조사는 무선 ARS 전화조사 방식으로, 조사 대상은 무선 RDD ARS(100%)로 선정됐다. 응답률은 5.4%,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2.0%포인트다.

    성, 연령, 지역별 인구비례에 따른 할당 추출로 올해 2월 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기준으로 국가 인구통계에 따른 성, 연령, 지역별 가중치가 부여(셀가중)됐다.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고하면 된다.
박아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