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장과 통합' 유종일·허민 등 관계자 7인 고발내부 갈등·정책 혼선 출범 8일 만에 해체 위기
-
-
- ▲ 유종일 성장과통합 상임공동대표를 비롯한 참석자들이 지난 16일 서울 여의도 국회 도서관 대강당에서 열린 성장과통합 출범식에서 박수를 치고 있다. 왼쪽 두번째 부터 정동영 더불어민주당 의원, 유 상임공동대표, 허민 상임공동대표, 전현희 의원. ⓒ뉴시스
국민의힘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의 정책 싱크탱크로 불리는 '성장과 통합' 관계자들을 공직선거법·정치자금법 위반 혐의로 고발했다.
당 법률자문위원장인 주진우 의원은 28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성장과 통합' 관계자 7인에 대한 고발장을 제출했다고 밝혔다.
주 의원은 "성장과 통합 유종일·허민 공동대표 등 관계자들은 이재명 후보로부터 직접 성장 전략 마련 등을 요청받았다고 공개적으로 밝히며 이 단체가 사실상 이 후보의 유사 기관임을 자인했다"고 했다.
이어 "이 단체는 정치자금을 받을 수 없는 미등록 조직임에도 위원들에게 직위별로 일정 금액의 회비를 부과해 불법 정치자금을 모금하려 했다"며 "이후 문제가 지적되자 모금을 취소하고 이미 납부된 회비를 돌려주겠다고 공지함으로써 불법 모금 행위를 사실상 시인했다"고 꼬집었다.
주 의원은 또 "이러한 사례가 반복되면 선거 질서를 심각히 혼탁하게 할 우려가 있으므로 선관위에 고발해 철저한 사실관계 조사를 요청했다"고 말했다.
'성장과 통합'은 이 후보의 정책 조언자로 알려진 유종일 KDI 국제정책대학원 명예교수가 상임대표를 맡아 주목을 받았다. 특히 지난 16일 열린 출범식에는 김민석 민주당 수석최고위원, 이언주·전현희 최고위원, 이한주 민주연구원장 등 이 후보 최측근이 참석해 사실상 이 후보의 싱크탱크로 해석됐다.
하지만 내부 갈등과 정책 혼선 등으로 인해 출범 8일 만인 24일, 내부 기획운영위원회는 "참석자 전원의 합의로 해체를 결정했다"는 보도자료를 발표했다. 그러나 직후 유종일·허민 공동대표는 보도자료 내용을 부인하는 의견문을 내면서 혼란이 가중됐다. 이 후보는 '성장과 통합' 해체 논란에 대해 "제 싱크탱크라고 주장하는 곳이 많아 잘 모르겠다"고 거리를 뒀다.

김희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