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PR 장비 3대 추가, 지하 20m 감지 신기술 도입하수관 정비 예산 연 4000억으로 2배 확대지하안전 전담 부서 신설…굴착공사 점검도 월 1회로

  • 서울시가 땅 꺼짐 사고를 막기위한 종합대책을 발표했다. 시민 불안 해소 차원에서 그간 논란이 있었던 지하 안전지도도 단계적으로 공개하겠다는 방침이다.

    시는 23일 발표한 종합대책을 통해 지표투과레이더(GPR) 탐사 확대, 하수관 정비 예산 2배 증액, 지반 침하 예측 신기술 도입, 전담 조직 신설 등 전방위적 대응에 나선다고 밝혔다.
    ▲ GPR 장비를 이용한 지반 탐사 ⓒ연합뉴스

    ■ GPR 장비 3대 추가, 지하 20m 감지 신기술 도입

    서울시는 차량형 GPR 장비를 3대 추가 구매해 총 7대로 확대 운용하고 도로 기준 탐사 범위도 기존 30%에서 60%로 늘린다.

    또 지하 20m까지 실시간 감지가 가능한 지반침하 관측망을 5월부터 지하철 9호선 공사장에 시범 도입한다. 지반침하 관측망은 지하 2m까지만 관측할 수 있는 GPR 장비의 한계를 보완한 신기술이다. 다만 고정 설치가 필요해 이동하며 측정할 수 없다는 제약이 있다.

    서울시는 앞으로도 국내외 신기술을 공모해 우수성이 확인된 기술은 굴착 위험이 높은 현장부터 우선 적용한다는 계획이다.





    ■ 지하 안전지도 공개, 철도 공사장 탐사 결과부터

    정보 공개를 통한 시민 신뢰 회복도 병행한다. 서울시는 철도 공사장 5곳(총 49.3km)과 자치구 점검지역 50곳(45km)의 GPR 탐사 결과를 서울안전누리를 통해 우선 공개한다는 방침이다.

    지반침하 시민신고에 대해서도 신고내용과 조치결과를 주기적으로 알릴 계획이다. 

    또 기존 우선정비구역도에 지반 구조·공사 이력 등 위험 요소를 반영한 지반 특성 지도를 새로 제작하고 전문가 자문과 시민 의견 수렴을 거쳐 공개 범위를 확대한다.

    오세훈 시장은 "부동산 가격을 의식해 정보를 숨겼다는 오해가 있지만 GPR로 확인된 위험 구역은 시민에게 즉시 공개하겠다"고 밝혔다.
    ▲ 하수관로 정비사업 ⓒ관악구

    ■ 노후 하수관 정비 예산 연 4000억으로 2배 확대

    기반시설 정비도 대폭 확대된다. 서울시는 노후 하수관 정비 예산을 연 2천억 원에서 4천억 원으로 두 배 증액하고 정비 물량도 연 100㎞에서 200㎞로 늘리겠다고 밝혔다.

    30년 이상 된 시내 상수도관 3,074㎞은 2040년까지 연차적으로 교체할 계획이다.

    다만 노후 상하수도관 정비에는 대규모의 추가 예산이 꾸준히 필요한만큼 서울시는 정부에 국비 지원도 요청한 상태라고 밝혔다.


    서울시 관계자는 뉴데일리와의 인터뷰에서 "최근 정부 추경에 지반침하 대응 예산을 반영해 달라고 요청했으며, 정부도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고 말했다.

    ■ 지하안전 전담 부서 신설…굴착공사 점검도 월 1회로

    서울시는 기존 9명 규모 지하안전 관리 조직을 30명 규모의 지하안전과로 확대한다.

    정기 공동조사 주기도 5년에서 1년으로, 굴착공사장 점검은 연 1회에서 월 1회로 단축한다.

    민간 전문가도 영입해 공동탐사-분석-조치-복구까지 전 과정을 체계화한다는 계획이다.

    오세훈 시장은 이날 강남구 영동대로 복합개발 현장을 직접 방문해 굴착공사 안전 실태를 점검한 뒤 "지하 공간은 시민의 삶과 밀접한 영역인 만큼 안전에 있어 예외나 사각지대가 없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김승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