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디어펜 /박종운의 시장민주주의  
    이번 3·1절엔 독립운동 뿌리 이승만 '독립정신' 읽자

    대역죄 한성감옥 수감 옥중 집필…독립선언서보다 15년 앞서

    박종운  |  media@mediapen.com 

     
  • 박종운 미디어펜 논설위원
    ▲ 박종운 미디어펜 논설위원
     올해는 1948년 독립 건국으로 우리 민족이 드디어 광복을 맞은 지
    67주년이 되는 해이다. 태평양 전쟁 이후 일본이 미국에 무조건 항복을 하였으나, 우리에게 독립건국은 바로 이루어지지 않았고, 따라서 해방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미소군정에게 권력을 이양하기까지 일제총독부는 1948년 8월 15일
 이후에도 더 존속했었고, 그 후 3년간 더 미소군정이 실시되었다.
그리고 그 기간 동안에 신탁통치를 위한 국공합작 임시정부를 구성하려는 미소간의 협상이 있었다. 

그렇지만 이때 내적으로는 우리 민족이 신탁통치에 반대하는 반탁운동을 벌였고,
외적으로는 소련이 독일과 동유럽 등지에서 그리고 북한에서 점령지사회주의화를 추진하자
미국이 이에 반발하게 됨으로써, 상황이 달라졌다. 드디어 유엔 관리 하의 총선거가 실시되는 쪽으로 사태가 전개되었고, 1948년 독립 건국을 함으로써 비로소 해방을 맞이하게 되었던 것이다.

그런데 올해를 광복 해방 70주년으로 기념하는 분위기다.
일본의 패망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우리의 독자적인 독립건국이 중요한 것인데...
차라리 일본패망기념일이라고 하는 것이 사실에 근접한 것이 아닐까 한다.
우리의 주체적 독립운동 역량이 국민들의 투표로 인정을 받은 것이 1948년 5.10선거이기 때문에, 독립운동 진영의 입장에서는 뭐니뭐니해도 1948년이 중요하다. 
  • 1948년 8월15일 대한민국 건군 선포식에서 연설하는 이승만 건국대통령.
    ▲ 1948년 8월15일 대한민국 건군 선포식에서 연설하는 이승만 건국대통령.

    역사를 독립운동의 관점에서 보면, 1945년 일제의 항복선언은 독립운동의 좋은 계기가 될 수 있었던 것만은 사실이지만, 1945년 8.15 항복선언 이후에도 일제 총독부 권력이 1945년 9월 미군의 진주 이전까지는 권력으로서 건재했었다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한다.

    이처럼 독립운동사의 관점에서 보면, 벌써 96주년을 맞이한 1919년의 3.1독립만세운동도,
    그리고 그 전후의 과정도 새롭게 읽을 수 있다.

    1896년 독립협회가 입헌군주제적 민주주의를 만들고 무너져가는 대한제국이라는 나라를 되살리려고 했지만, 해산을 당하고 난 뒤에는 1919년 3월 고종 장례식을 활용한 독립만세운동 이후 급기야는 아예 ‘민’국을 세우는 쪽으로 방향을 전환하였기 때문이었다.
    보통 국권이 강탈당한 나라에서의 독립운동은 국권의 회복이 독립운동의 주요한 목표가 되는 것인 만큼, 왕정복고가 정상이건만, 1919년에 이르러서는 독립운동가들은 자유민주주의의 독립
    혁명인 대한민국을 꿈꾸었다.

    우리는 1919년 3.1독립만세운동 당시 독립선언서를 썼던 최남선의 명문(名文)을 외우면서 자랐다. “우리는 오늘 우리 조선이 독립국임과 조선인이 자주민임을 선언하노라…” 하는 내용이었다. 그런데 그간 우리의 배움에는 약간 치우침이 있었다. 
         
  • 1899년 한성감옥에 갇힌 이승만(맨왼쪽) 종신죄인 죄수복. 옆의 사람들도 복역중인 죄수들. 이상재 유성준등 됫날 독립운동의 중심인물들이다.
    ▲ 1899년 한성감옥에 갇힌 이승만(맨왼쪽) 종신죄인 죄수복. 옆의 사람들도 복역중인 죄수들. 이상재 유성준등 됫날 독립운동의 중심인물들이다.